정부, 세포 유전자치료제·mRNA 백신 제품화 규제 대응 지원

식약처, 내년부터 4년간 규제 대응 전략 개발 등 지원

 정부가 내년부터 4년간 세포·유전자치료제와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바이오헬스 의료제품의 제품화를 위한 규제 대응을 지원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내년부터 2028년까지 '바이오헬스 제품화 규제지원 사업'을 시행한다.

 이 사업은 세포·유전자치료제, 첨단·디지털 의료기기, 공중보건 위기 대응 백신 등 국가 차원의 제품화 지원이 필요한 바이오헬스 의료제품 개발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제품화 규제 대응 전략 개발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식약처는 정부 주요 정책 중 부처·단계별 연계가 시급한 분야와 정부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이 높고 사전적 규제 등 비 R&D 정책이 중요한 분야 중 ▲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 유전자치료제 딥테크(선도기술) ▲ 첨단 의료 AI 헬스케어 토탈 솔루션 ▲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등 4가지 분야 R&D의 제품화를 우선 지원키로 했다.

 CAR(키메릭항원수용체)-X, TCR(종양침윤림프구), TIL(T세포 수용체) 치료 등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와 후성 유전체(DCA 서열 변형 없이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들 집합체) 및 유전자 편집·제어·복원 관련 원천기술,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바탕으로 한 보건의료 AI 모델 개발, 팬데믹 발생 시 100일 또는 200일 이내 신속하게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 등의 R&D가 연구에 그치지 않고 제품화를 통해 국민에 제공되기 위해서는 규제 대응 전략 개발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원천·융합기술 면에서 실증단계 역량을 보유하고도 인허가 등 규제가 없으면 상용화가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 범정부적으로 확산하면서 의료수요 대응, 사회문제 해결 차원에서 필요한 분야에 대한 바이오헬스 R&D 다부처 협업예산 지원이 추진된 데 따른 결과물이다.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목표로 지난해 출범한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는 지난 6월 열린 제3차 회의에서 이들 분야를 다부처 협업예산 패키지로 선정한 바 있다.

 바이오헬스혁신위 김영태 부위원장은 당시 "다부처 협업예산 패키지를 통해 부처 간 분절된 R&D 투자구조를 타파하고, R&D뿐 아니라 규제·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분야를 통합해 R&D 성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부처 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실질적 협력을 높일 수 있는 안건들을 많이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