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어들던 중증 우울·재발성 우울장애, 최근 2년 새 13% 증가

2018년→2020년 감소하다가 이듬해 반전…非자의 입원율도 매년 늘어

 한동안 줄어들던 중등도 이상의 우울 경험자와 재발성 우울장애 환자들이 최근 2년 사이 13%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2023년 정신의료기관 입원 환자 가운데 중등도 이상 우울 에피소드 및 재발성 우울장애 경험자는 8천103명이었다.

 2021년(7천200명)과 비교하면 12.5% 늘었다.

 중등도 이상 우울에피소드 및 재발성 우울장애 경험자는 2018년 1만532명에서 2020년 8천143명으로 줄었으나 그 이듬해를 기점으로 늘기 시작했다.

 이런 주요 우울 장애에 조현병, 양극성 장애 등을 더한 전체 중증 정신질환자들도 2018년(8만4천583명)부터 2021년(7만1천373명)까지 감소하다가 2022년 다시 늘기 시작해 2023년에는 7만3천311명이 됐다.

 같은 기간 정신의료기관 입원환자 가운데 본인의 뜻이 아닌 보호의무자나 시장·군수·구청장에 의한 비(非)자의 입원 사례도 늘었다.

 정신의료기관 비자의 입원율은 2018년 33.5%에서 이듬해 32.1%로 내렸으나 이후 매년 상승해 2023년에는 36.5%를 기록했다.

 2023년 비자의 입원·입소 사례 3만1천459건 중 가장 많았던 진단은 조현병 및 분열형·망상 장애(1만2천479건)이었다. 이어 정신활성물 사용에 따른 정신 및 행동장애(7천723건), 양극성 장애 등 기분장애(7천284건) 등의 순이었다.

 입원 치료 등을 통해 정신건강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정작 병원이 아닌 일상에서 정신건강을 위한 교육 등을 받는 사례는 '제자리걸음' 수준이다.

 전체 국민 대비 지역사회 재활기관에서 정신건강 증진 교육을 받은 이들의 비율은 2018년 3.5%에서 2023년 4.0%로 소폭 늘었을 뿐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제주 감귤 껍질, 식약처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로 등록
제주한의약연구원은 제주산 귤피(감귤 껍질)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 인정형 기능성 원료'(제2025-23, 24호)로 등록됐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제주 감귤 껍질이 국내에서 기능성 원료로 등록된 첫 성공사례다. 한의학에서는 귤피(진피)는 소화를 돕고 기를 순환시켜 몸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제주한의약연구원은 전통적인 법제 기술을 응용한 덖음(로스팅) 기법을 도입해 귤피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헤스페리딘 함량을 높이고 약효를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성인 93명을 대상으로 한 인체 적용시험에서도 12주간 '덖음귤피추출분말'(JRC) 300㎎을 섭취한 결과, 체지방량, 체질량 지수, 체중, 허리·엉덩이 둘레 등 주요 비만 지표가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또 비임상시험에서는 지방세포 분화와 합성 관련 인자를 억제하고 지방분해와 에너지 대사 관련 인자를 촉진하는 체지방 감소 기전을 규명해 과학적 근거를 확보했다. 제주한의약연구원은 제이앤제바이오헬스케어, 알피바이오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제주산 귤피를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상용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제주산 귤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제주도와 협력해 도내 농가 및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