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전염이 급격히 확산하는 원리 밝혔다

KAIST "nsp13 단백질이 바이러스 RNA 복제 촉진"

  코로나바이러스가 짧은 시간 안에 빠르게 확산하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광록 교수 연구팀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의 헬리케이스(나선효소·DNA나 RNA의 이중나선을 풀어주는 효소)인 'nsp13 단백질'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인 리보핵산(RNA) 복제를 촉진한다는 것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병은 2003년 사스(SARS), 2015년 메르스(MERS), 2019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코로나19) 등으로 지속해 발생하고 있다.

 그동안 코로나19의 백신 개발 등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인체에 감염된 뒤 짧은 시간 안에 급격히 복제돼 빠르게 전염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nsp13이 헬리케이스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샤페론(단백질이 3차원으로 올바로 접히도록 하고, 잘못 접힌 단백질의 응집을 막아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 활성을 통해 잘못된 RNA를 교정하는 방법으로 세포 내 RNA 대사 과정을 돕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nsp13은 우선 인산 3개를 가진 고에너지 인산염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분해해 나온 에너지를 이용해 유전물질인 RNA의 꼬인 구조를 풀어준다. 이 과정에서 부산물로 인산 2개 구조의 '아데노신 이인산'(ADP)이 만들어진다.

 이때 생성된 ADP와 nsp13이 재결합하게 되면 nsp13의 샤페론 기능을 활성화해 RNA 이차구조를 추가로 불안정화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결과적으로 헬리케이스 활성과 샤페론 활성이 동시에 일어나 RNA 복제를 촉진하게 되는 새로운 작용 원리를 규명했다.

 이광록 교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의 다양한 변이에 대응할 효과적인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핵산 연구' (Nucleic Acids Research) 지난달 29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