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머티즘 관절염·건선·루푸스…자가면역질환이란

면역체계 오작동으로 발생…치료제 시장 규모 올해 223조원 전망
애브비·J&J 등 글로벌 제약사 선두…국내 기업, 바이오시밀러 개발 주력

  제약 기사를 읽다 보면 '자가면역질환'이라는 용어를 흔히 볼 수 있다.

 자가면역질환이란 면역체계가 자체 기관, 조직, 세포를 외부 물질로 오인, 공격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바이러스 등 침입자로부터 나를 보호해야 하는 면역세포가 역으로 나를 공격하는 것이다.

 여성 발병률이 남성보다 약 4배 높고 유럽과 북미의 경우 전체 인구의 5%가 자가면역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병한다.

 호르몬,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발병 원인으로 지목되나 아직 정확히 밝혀진 것은 없다.

 환자가 늘면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도 날로 성장하고 있다.

 2일 제약업계와 한국바이오협회 등에 따르면 미국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은 자가면역치료제 시장이 2017년 1천90억달러(약 160조원)에서 올해는 1천530억달러(약 223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집계했다.

 질환별로 보면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 매출은 2019년 262억달러(약 38조원)에서 2029년에는 291억달러(약 43조원)로 증가할 전망이다.

 글로벌 제약사 애브비와 존슨앤드존슨(J&J)이 해당 치료제 시장을 주도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제1형 당뇨 치료제는 같은 기간 49억달러(약 7조원)에서 240억달러(약 35조원)로, 다발성경화증 치료제는 199억달러(약 29조원)에서 329억달러(약 48조원)로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제1형 당뇨병 시장은 노보 노디스크, 사노피, 일라이 릴리 등 제약사가, 다발성경화증 시장은 바이오젠이 선두를 달리는 것으로 업계는 분석한다.

 우리나라 기업은 자가면역질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및 출시에 주력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악템라' 바이오시밀러 '앱토즈마'를 개발해 국내에 이어 유럽, 미국에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악템라는 체내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인터루킨(IL)-6 단백질을 억제해 염증을 감소시키는 인터루킨 억제제다.

 이 회사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도 개발했다.

 얀센이 개발한 스텔라라는 염증 유발과 관련한 물질인 인터루킨(IL)-12, 23 활성을 억제해 판상 건선 등 자가면역질환에 처방된다.

 스테키마는 지금까지 유럽 주요 5개국인 독일, 스페인,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등에 출시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도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피즈치바'를 유럽 등에 출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자가면역질환 바이오시밀러 개발로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의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