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에 '빅5' 의사 36%↓…전문의 감소폭 작아 '겨우 유지'

서울대병원 의사 수 41% 급감했지만 전문의는 되레 1.7% 증가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여전히 돌아오지 않으면서 지난해 주요 상급종합병원인 '빅5' 병원 의사가 36%가량 급감했다.

 단 전문의는 비교적 적은 2%만 줄어 의료현장이 가까스로 유지된 것으로 평가됐다.

 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기준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이상 가나다순) 등 빅5 병원의 전체 의사 수는 4천570명으로 집계됐다.

 의사 수에는 일반의, 인턴·레지던트와 같은 전공의와 전문의가 모두 포함된다.

 빅5 병원 의사 수가 일제히 줄어든 가운데 서울대병원의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서울대병원 의사 수는 2023년 말 1천604명에서 지난해 말 950명으로 40.77% 급감했다.

 이어 세브란스병원 -37.77%(1천525명→949명), 서울아산병원 -34.79%(1천716명→1천119명), 삼성서울병원 -34.33%(1천398명→918명), 서울성모병원 -28.68%(889명→634명) 순으로 줄었다.

 의사 수가 줄어든 데에는 인턴, 레지던트와 같은 전공의의 빈 자리 영향이 컸다.

 빅5 병원의 인턴은 2023년 말 628명에서 지난해 말 17명으로 97.29%, 같은 기간 레지던트는 2천114명에서 213명으로 89.92% 각각 줄었다.

 서울대병원 인턴은 171명에서 10명으로, 레지던트는 569명에서 57명으로 사실상 전공의 대부분이 사라졌다.

 세브란스병원 전공의는 612명(인턴 147명·레지던트 465명)에서 46명(5명·41명)으로, 서울아산병원은 578명(131명·447명)에서 35명(1명·34명)으로 감소했다.

 그나마 전임의와 임상강사, 교수 등 전문의 숫자는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작년 말 기준 빅5 병원 전문의 수는 4천174명으로, 2023년 말 4천243명 대비 1.63% 줄었다.

 서울아산병원 전문의 수는 2023년 말 1천82명에서 지난해 말 1천32명으로 4.62% 감소했다.

 같은 기간 세브란스병원 전문의 수는 906명에서 885명으로 2.3%, 서울성모병원은 568명에서 556명으로 2.11% 줄었다.

 삼성서울병원 전문의 수는 838명으로 변동이 없었고, 서울대병원은 849명에서 863명으로 1.65% 늘었다.

 [표] 2023년 말∼2024년 말 '빅5' 병원 의사 수 변화 추이

 

  2023년 12월 말 기준(단위:명) 2024년 12월 말 기준(단위:명)
의사 전문의 인턴 레지던트 의사 전문의 인턴 레지던트
삼성서울병원 1398 838 121 404 918 838 1 42
서울대병원 1604 849 171 569 950 863 10 57
세브란스병원 1525 906 147 465 949 885 5 41
서울아산병원 1716 1082 131 447 1119 1032 1 34
서울성모병원 889 568 58 229 634 556 0 39
합계 7132 4243 628 2114 4570 4174 17 213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재구성.

※ 의사 수에는 의과 분야 인턴, 레지던트, 일반의, 전문의와 치과 분야 인턴, 레지던트, 일반의, 전문의 등이 포함돼 있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