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 이송 소요시간 8년새 25분→33분…지역간 격차도 커져

질병청, 2023년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인천·대전 25분, 강원 46분

 119 구급대가 중증외상 환자를 병원까지 이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지난 8년 사이에 8분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간 격차도 더 벌어졌다.

 질병관리청의 '2023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증외상 환자 신고 후 구급대가 병원에 도착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33분(중윗값)이었다.

 중증외상 이송 소요 시간은 조사 첫해인 2015년 25분에서 2016년 26분, 2017∼2018년 27분, 2019년 28분, 2020년 32분, 2021년 34분, 2022년 35분으로 계속 늘어났다.

 중독, 익수, 질식 등과 같은 비외상성 중증손상 이송 소요 시간도 2015년 27분에서 2023년 37분으로 10분 늘어났다.

 2023년은 의정 갈등으로 인한 의료 공백이 발생하기 전이어서, 내년 초 공개될 2024년 조사 결과에선 이송 시간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최근 몇 년간 이송 소요 시간이 길어진 데에는 현장에서 처치하는 기술이 늘어난 영향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중증외상 환자 이송에 걸리는 시간은 지역별로도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2023년 기준 17개 시도 중 중증외상 이송 시간이 가장 적게 걸린 곳은 인천·대전(25분)이었고, 서울(26분)과 광주(27분)도 30분 미만이었다.

 반면 강원은 46분이 걸렸고, 세종(42분), 충북·충남(39분), 전북(38분), 경북(38분)도 40분 안팎이 걸렸다.

 2015년의 경우 광주(20분), 서울·울산(21분), 대전(22분) 순으로 소요 시간이 짧고, 강원·세종(35분), 충북·경북(30분) 순으로 길었다.

 2015년엔 이송 시간이 가장 짧은 지역과 긴 지역의 차이가 15분이었는데, 2023년엔 21분으로 벌어졌다.

 매년 이뤄지는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는 119 구급대가 응급실로 이송한 중증외상, 비외상성 중증손상, 다수사상(한 가지 재난으로 6명 이상 환자 발생) 환자에 대한 전수 조사다.

 2023년 한 해 중증외상 환자는 총 8천192명, 비외상성 중증손상 환자는 1만6천532명이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경세포 파킨슨병 환자 뇌에 이식해 안전성과 증상 개선 효과 확인
일본 연구팀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로 만든 신경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해 안전성과 함께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이 18일 보도했다. 교토대iPS세포연구소의 다카하시 준 교수 등 연구팀은 2018년부터 파킨슨병 환자 7명의 뇌에 건강한 사람의 iPS로 만든 신경세포를 각각 500만∼1천만개 이식한 결과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안전성만 조사한 환자 1명을 제외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한 6명은 이식 세포에 의한 도파민 생성이 모두에게서 확인됐으며 이 가운데 4명은 운동 기능 등 증상이 개선됐다. 이번 임상시험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도 게재됐다. 다카하시 교수는 "환자의 증상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치료 기술을 제품화해 대형 제약사인 스미토모파마와 손잡고 1년 이내에 제품 제조 판매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알츠하이머처럼 고령자에게 주로 발생하는 파킨슨병은 신경세포가 줄면서 손발이 떨리거나 몸이 경직되는 퇴행성 질환으로, 현재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고 도파민 분비를 촉진하는 약으로 증상을 억제하는 수준에 머물러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