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5일 조간)

▲ 경향신문 = 의대생 집단 복귀에 '미등록 압박' 구태, 용납 말아야

그날 밤 "2차 계엄"도 언급했다는 윤석열, 조속히 파면해야

'복귀 한덕수' 국정 안정 주력하고 마은혁 재판관 임명하라

▲ 국민일보 = 폭력 선동으로 돈 버는 유튜버들, 언제까지 방치할 것인가

여야 합의 폄하하고 세대 간 대결 조장하는 '연금개악' 주장

한덕수 총리 탄핵 기각… 9전 9패 민주당 반성해야

▲ 동아일보 = 토허제 헛발질에 대출은 냉탕온탕… 실수요자들만 피해

韓 대행 "이제 좌우는 없다"… 국정 빈틈 속히 메워야

헌재, 尹 선고 더는 미룰 이유 없다

▲ 서울신문 = '토허제' 오락가락 불똥, 엄한 실수요자에 튀지 않도록

與野, 尹 탄핵 선고 이전 추경 합의 서둘라

만시지탄 韓총리 복귀… 분초 아껴 국정 정상화 나서야

▲ 세계일보 = 의대생 복귀에 또 등장한 블랙리스트, 엄정 대응하라

韓 총리 복귀, 野는 국정 공백 부른 탄핵소추 사과해야

'의원 때리면 가중처벌' 野 법안, 입법권 남용이다

▲ 아시아투데이 = 韓총리 복귀 다행이나 '탄핵 정족수' 판단은 유감

尹 탄핵 심판 두고 왜 민노총이 총파업을 하나

▲ 조선일보 = 北 인권 지원, 美가 안 한다면 한국이 하자

대통령 되겠다면서 법 무시하면 누가 법 지키나

韓 대행까지 9번 탄핵 다 기각, 崔 탄핵 철회하라

▲ 중앙일보 = 헌재 결정 아전인수식 해석으로 혼란 부추기지 말아야

한덕수 탄핵 기각, 무리한 정치 공세의 당연한 결과

▲ 한겨레 = 소득재분배 OECD 꼴찌 수준, 여야 감세 경쟁 중단해야

한 총리 탄핵 기각 헌재, '윤석열 파면' 선고 신속히 하라

한덕수 대행 복귀, 마은혁 임명으로 통합 의지 보여야

▲ 한국일보 = 윤 대통령 탄핵 예단 못해… 호도·아전인수 말길

한덕수 석달 공백… 민주당, 국가위기 가중 책임 크다

토지거래허가 확대 재시행, 풍선효과 막고 공급 늘려라

▲ 글로벌이코노믹 = 디지털 주치의 제도 도입할 때다

대형 산불 피해 예방을 위한 제안

▲ 대한경제 = 중산층 위기 신호에 적기 대응해 균형적 성장동력 살려라

87일 만의 韓 총리 복귀, 국정 안정에 총력 기울여야

▲ 디지털타임스 = 韓총리 업무 복귀… `아니면 말고`식 탄핵, 법으로라도 막아야

잇단 사고에 연쇄 산불까지… 느슨한 사회 분위기 탓 아닌가

▲ 매일경제 = "中 AI 굴기하는 동안 韓 제자리" 박현주의 쓴소리

국민연금 개혁안에 세대 갈라치기 선동하는 값싼 정치

韓 총리 탄핵 기각 … 최상목 탄핵 명분도 사라졌다

▲ 브릿지경제 = 이제 최상목 '경제수장' 역할에 힘 실어줘야 한다

▲ 서울경제 = 의대생 일부 복귀, 대화와 원칙 대응으로 의료 정상화하라

韓대행 복귀, 巨野 국정 공백 사과하고 崔부총리 탄핵 멈추라

"고율 관세에 韓 포함 가능성"…통상라인 복원해 피해 최소화해야

▲ 이데일리 = 가물가물해진 벚꽃 추경, 얼음장 내수 이대로 둘 건가

제동 걸린 한 대행 억지 탄핵, 국정 정상화 차질 없어야

▲ 이투데이 = '美 3000만대' 앞둔 현대차, 관세전쟁도 극복하길

▲ 전자신문 = 디지털화폐, 금융 혁신 단초 돼야

▲ 파이낸셜뉴스 = 벼랑끝 석유화학, 사즉생 각오로 산업재편 나서야

사필귀정 韓 총리 탄핵 기각, 사과 한마디 없는 野

▲ 한국경제 = 국채 찍어 100조 국부펀드 만들자는 민주당 발상

韓 경제 활력 떨어지자 시작된 '차이나 머니' 공습

돌아온 한덕수 대행, 더 무거워진 어깨

▲ 경북신문 = 예고 없는 산불… 산림 당국만 모르고 있다

▲ 경북일보 = 여야, "극단 아닌 도약" 국민 뜻에 귀 기울여야

▲ 대경일보 = 계란 투척 행위의 민낯

30번째 탄핵을 지켜보며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주치의 없는 대한민국
스트레스의 원인은 너무도 다양하다. 신체적 질병 때문일 수도 있지만 현대인은 실제로 신체적 피로보다는 정신적인 피로에 더 많이 시달린다. 소음이나 이웃과의 갈등 같은 주변 환경 요인이 있을 수도 있다. 부모나 자녀와의 불화, 상사로부터의 영업 실적 압박,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 가까운 사람의 사소한 말 한마디도 모두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나열하자면 끝도 없다. 중요한 것은 이런 스트레스를 어떻게 잘 다스리느냐는 것이다. 우선 스트레스를 받아들이는 마음가짐, 즉 스트레스 감수성에 대해 살펴봐야 한다. 사실 스트레스 감수성 자체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성향이나 체질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는 듯하다. 사상체질의학에서도 스트레스 감수성에 관해 이야기하는데, 소음인은 스트레스를 심하게 느끼고 태음인은 스트레스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한다. 일반적인 것은 아니지만 동양에서는 혈액형에 따른 차이가 있다는 생각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A형은 스트레스를 아주 심하게 느끼지만, B형은 스트레스를 덜 느낀다는 식이다. 흥미로운 것은 체중과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주장이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지방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 가운데 하나가 사람을 느긋한 성격으로 만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