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일 조간)

▲ 경향신문 = 명분도 논리도 없이 상법 개정 거부한 한덕수의 독단

한국엔 청구서, 북한엔 손짓, 트럼프 시대 능동적 대비 해야

▲ 국민일보 = '배째라' 수단 전락한 기업회생 제도, 계속 방치할 건가

韓 국방 분야도 비관세장벽 거론, 심상찮은 관세 태풍

승복 약속하고 정쟁 중단을… 차분히 4월 4일 기다리자

▲ 동아일보 = 트럼프 "김정은과 소통 중, 뭔가 할 것"… 정부 알고 있나

尹 탄핵 심판 4일 선고… 불확실성의 짙은 안개 걷히길

티메프 이어 발란… e커머스의 '배 째라'식 법정관리行 막아야

▲ 서울신문 = 의대생 수업 불참 '무늬만 복귀', 용납 말아야

국방 비관세 장벽까지… 샅샅이 뒤져 퍼붓겠다는 관세폭격

尹 탄핵심판 4일 선고… 與野 '승복 다짐'만이 지금 할 일

▲ 세계일보 = 美, 상호관세 앞두고 韓 무역장벽 적시… 총력 대응해야

李 '대장동 증인' 4번이나 불출석, 법 위에 군림하나

4일 尹 탄핵 선고, 여야는 정쟁 멈추고 승복 선언하라

▲ 아시아투데이 = 민주당, 헌재 선고 '승복' 밝히고 '쌍 탄핵' 철회해야

尹 탄핵심판, 법·상식 따른 판결로 국민 납득시키길

▲ 조선일보 = 주한 미군 역할 변경, 기정사실로 대비해야

선고 앞두고 나오는 망나니 같은 정치인 극언들

尹·李에게 마지막으로 "승복" 선언을 요청한다

▲ 중앙일보 = 불리하면 다 비관세 장벽 … '자국 우선주의' 미국의 얼굴

4월 4일, 분열과 갈등의 끝이어야 한다

▲ 한겨레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노력 끝내 외면한 한 대행

의대생 '수업 방해' 없도록 정부와 대학이 보호해야

헌재 4일 탄핵 선고, 헌법에 따라 '윤석열 파면'하라

▲ 한국일보 = 반복된 권력형 성폭력 비극… 피해자 2차 가해 없어야

세계가 다하는 절충교역 문제 삼아 한국 압박한 미국

마침내 尹 파면 여부 선고… 헌재, 모두가 수긍할 결정문을

▲ 글로벌이코노믹 = 중국 시장 내준 K-뷰티 미국서 인기몰이

한국, 美 무역장벽 보고서 방어대책 있나

▲ 대한경제 = 처벌위주 중처법, 예방위주 개편이 바람직하다

골재 절반은 어떻게 생산됐는지도 모른 채 사용

▲ 디지털타임스 = 트럼프 '북미 대화' 시사… '안보 폭탄' 터지기 전 기민한 대응을

국가 명운 걸린 尹탄핵 선고… 승복 없인 나라 결딴난다

▲ 매일경제 = 美 사과·배 시장 개방, 소고기 수입 확대 요구…전략적 대응을

韓대행, 상법 개정안 거부권…더 나은 대안 찾자

尹 탄핵 4일 결론, 이젠 정쟁 접고 승복 다짐을

▲ 브릿지경제 = '산불' 겹친 밥상물가 불안에 비상한 대처를

▲ 서울경제 = 尹 선고 D-2일 … 국론 분열 부채질 말고 헌재 결정 존중해야

동북아 안보 정세 급변, 힘 키우고 '서울 패싱' 막아야

美 '韓 무역장벽' 정조준, 경제안보TF 통해 민관 총력 대응하라

▲ 이데일리 = 의대 파행 마무리 수순, 수업 정상화로 신뢰 회복해야

정부 10조 추경에 野 반대, 시기 놓치면 무슨 소용 있나

▲ 이투데이 = '상법' 거부 당연…국가 경제 놓고 불장난해서야

▲ 전자신문 = 헌재판결, 포용과 안정의 계기 되길

▲ 파이낸셜뉴스 = 한국의 비관세장벽 다 거론한 美, 복합플랜 준비를

4일 尹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누구라도 승복해야

▲ 한국경제 = 현대차가 증명한 해외 투자 '낙수 효과'

팩트부터 틀린 이재명의 한화 경영권 승계 비판

모레 탄핵 선고 … 여야 승복하고 국민은 절제해야

▲ 경북신문 = 어업피해만 100억 원 육박… 참혹한 현장

▲ 경북일보 = 산불이 지방소멸 가속화…피해특별법 제정을

▲ 대경일보 = 금융기관의 고금리 폐단과 자영업자의 고통

미세 플라스틱의 반격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