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연기,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취약층 정신건강 관리 필요"

美 연구팀 "산불 연기 PM2.5에 노출된 취약층 정신건강 문제 증가"

 산불 연기 등에 포함된 초미세 입자(PM2.5)에 단기간 노출돼도 여성, 청소년,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이 정신건강 질환으로 응급실을 방문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T.H.찬 공중보건대학 카리 네이도 교수팀은 6일 미 의학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산불로 인한 미세 먼지와 정신 건강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서 연기 속 PM2.5 노출이 정신건강 문제로 인한 응급실 방문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네이도 교수는 "산불 연기는 단순한 호흡기 문제가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이 결과는 산불이 트라우마 유발 외에도 연기 자체가 우울증, 불안, 기분장애 같은 정신건강 악화에 직접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미세먼지가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점점 늘고 있으나 산불 미세먼지의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었고 기존 연구도 대부분 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췄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캘리포니아주에서 기록상 가장 심각한 산불이 발생했던 2020년 7~12월 지역(우편번호)별 일일 산불 관련 PM2.5 수치와 우울증·불안, 기분-정서장애 등 정신건강 질환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기간에 정신건강 문제로 응급실 방문한 건수는 8만6천588건이었고, 산불 관련 PM2.5의 일일 평균 농도는 6.95㎍/㎥를 기록했으며 산불이 가장 심했던 시기에는 11.9㎍/㎥까지 증가했고 9월에 가장 높았던 시기에는 24.9㎍/㎥로 치솟았다.

 분석 결과 산불 관련 PM2.5가 10㎍/㎥ 증가할 때 모든 원인의 정신건강 질환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은 노출 후 7일간 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별로는 기분-정서 장애로 인한 응급실 방문이 2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과 불안으로 인한 방문이 각각 15%와 6% 증가했다.

 특히 정신건강 문제로 응급실을 방문할 위험은 여성, 어린이·청소년, 흑인·히스패닉, 저소득층 등 취약층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산불로 인한 미세먼지와 정신건강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최초 연구 중 하나라며 이 결과는 산불 시즌에 취약 계층에서 증가하는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표적화된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논문 제1 저자인 정윤수 박사는 "인종, 성별, 연령, 소득 등에 따른 영향의 격차는 기존 건강 불평등이 산불 연기 노출로 악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산불 시즌에는 취약 그룹을 중심으로 정신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 출처 : JAMA Network Open, Kari Nadeau et al., 'PM2.5 from 2020 California Wildfires and Mental Health-Relate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http://dx.doi.org/10.1001/jamanetworkopen.2025.3326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