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입원 원인 1위는…10년 전엔 '출생' 지금은 '노년백내장'

심평원 다빈도 질병 통계…작년 33만7천명이 백내장으로 입원

 저출생과 고령화로 한국인의 입원 원인 순위도 바뀌고 있다.

 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4년도 다빈도 질병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보험 입원 환자 수가 가장 많았던 질병은 '노년백내장'이었다.

 백내장은 눈 속 수정체의 노화나 손상으로 안개가 낀 것처럼 사물이 흐려 보이는 안과 질환으로, 지난해 33만7천270명의 환자가 백내장으로 입원해 치료받았다. 전년도 32만61명에서 5.4% 증가했다.

 10년 전인 2014년엔 신생아에게 부여되는 상병(傷病) 명칭인 '출산장소에 따른 생존출생'(37만3천597명)이 입원 다빈도 상병 1위였다.

 2014년의 경우 노년백내장 입원 환자 수는 25만1천8명으로 3위였다.

2014년(왼쪽)과 2024년의 입원 다빈도 질병 상위 10위

 10년 사이 출생아 수는 2014년 43만여 명에서 지난해 약 24만명으로 빠르게 줄고 노인 인구는 빠르게 늘면서 입원 원인 순위에도 변화가 생긴 것이다.

 지난해 입원 환자 수 순위에서 '출산장소에 따른 생존출생'은 20만7천398명으로 5위에 그쳤다.

 한편 작년 입원치료에 따른 건강보험 의료비가 가장 많았던 질병은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1조8천694억원이 소요됐다. 뇌경색증,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무릎관절증이 뒤를 이었다.

 외래의 경우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건강보험 환자가 지난해 1천959만 명에 달해 전년도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치주질환은 외래 의료비 총액으로도 1위였다.

 이어 '급성 기관지염'(1천760만4천128명),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740만701명), '본태성 고혈압'(732만9천913명) 순으로 많은 환자가 외래 진료를 받았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