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성 고혈압 질환 산모, 모유 수유 확률 10% 이상 낮아"

美 연구팀 "수유 권장기간 6개월 내 중단 확률은 17% 높아"

 모유 수유가 아기와 산모 건강 증진에 중요하다는 것은 많은 연구에서 확인됐다.

 하지만 산모가 만성 또는 임신성 고혈압, 자간전증, 자간증 같은 임신성 고혈압 질환(HDP)이 있을 경우 모유 수유를 시작하거나 지속할 확률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예일대 의대 디애나 나르델라 박사팀은 21일 미국의사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다양한 사회경제적, 인종적, 민족적 배경을 가진 산모 20여만 명에 대한 연구에서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HDP가 있는 산모는 모유 수유를 시작할 확률이 11% 낮고, 중간에 중단할 확률은 17% 높았다며 이들이 모유 수유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돕는다면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장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HDP는 장기적으로 산모의 심장병, 신장 질환, 뇌졸중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다며 모유 수유를 통해 이런 장기적 건강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모유 수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EC)에 따르면 미국 여성 83%는 모유 수유를 시작하지만 권장기간인 6개월 간 완전 모유 수유를 하는 비율은 25%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CDC의 임신 위험평가 모니터링시스템(PRAMS) 데이터를 이용해 국내 43개 주와 워싱턴DC, 푸에르토리코에 거주하는 산모 20만5천247명(2016년 1월~2021년 11월 출산)을 대상으로 HDP와 모유 수유 여부 및 기간 등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HDP가 있는 여성은 모유 수유를 전혀 하지 않을 확률이 HDP가 없는 여성보다 11% 높았고, 모유 수유를 시작한 경우에도 권장 기간 전에 중단할 확률이 17%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 수유 중단 시점도 HDP가 없는 산모는 출산 후 평균 34주였으나 HDP가 있는 산모는 17주로 훨씬 빨랐다.

 나르델라 박사는 이 결과는 HDP와 모유 수유 사이의 부정적 연관성을 시사한다며 "HDP가 모유 수유 문제를 직접적으로 초래한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산모와 아기의 건강 증진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세라 테일러 교수는 "미국 가정의 80% 이상이 모유 수유를 선택하지만 대부분 권장 기간 6개월 완전 모유 수유라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다"며 "이 연구가 모든 가정이 수유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출처 : JAMA Network Open, Deanna Nardella et al., 'Hypertensive Disorders of Pregnancy and Breastfeeding Among US Women',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networkopen/fullarticle/283656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