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하고 까다로운 심부전 진단, AI로 쉽고 간편하게

삼성서울병원, 흔한 심전도검사로 심부전 진단 AI 모델 개발

  단순한 증상으로는 알아채기 어려운 '박출률 보존 심부전'을 쉽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됐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박경민·홍다위 교수 연구팀은 AI를 활용해 수축 기능이 보존된 심부전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해 유럽심장학회 디지털헬스 관련 학술지(European Heart Journal - Digital Health)에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심부전은 심장의 좌심방에서 받은 혈액을 전신에 펌프질해 내보내는 좌심실 기능에 이상이 생겨 체내의 모든 기관과 조직의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 역시 숨이 차거나, 피로함, 운동할 때의 불편감 등 비특이적이어서 정확히 진단하려면 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해 그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편이다.

 연구팀은 박출률 보존 심부전 진단의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잡한 검사 없이 병원에서 널리 사용하는 12유도 심전도 검사(12개 전극을 붙여 심전도를 검사하는 방식) 결과만 있어도 진단할 수 있는 AI 모델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2016∼2022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심장 초음파, 12유도 심전도 검사 등을 받은 1만3천81명을 박출률 보전 심부전 그룹과 대조군으로 나눴다.

 이후 이들의 심전도 데이터와 최대 5년간의 임상 정보를 AI에 학습시킨 뒤 통합 분석해 진단할 수 있게끔 설계했다.

 연구팀이 AI 모델의 심전도 진단 예측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 모델을 가동하자, 1에 가까울수록 예측 정확도가 높다는 의미인 AUC 값은 0.81을 기록했다.

 고령, 비만, 당뇨, 고혈압 등 심전도 고위험군에서의 AUC 값도 0.78~0.83으로 성능이 유지됐다.

 이번 연구는 AI 기반 심전도 모델을 활용해 박출률 보존 심부전 가능성을 예측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박경민 교수는 "기존 심장 초음파나 혈액검사가 없는 환자에게서도 간단한 심전도 검사만으로 박출률 보존 심부전의 가능성을 조기에 의심해볼 수 있어 진단의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숨쉴 희망마저"…폐고혈압 신약 '타이바소' 건보문턱 못넘어
간질성폐질환 동반 폐고혈압(PH-ILD)의 유일한 치료제로 기대를 모았던 신약 '타이바소'가 건강보험 급여 적용에 최종 실패했다. 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4일 열린 2025년 제9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안트로젠의 타이바소흡입액(성분명 트레프로스티닐)에 대해 '비급여' 결정이 내려졌다. 이는 사실상 건강보험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의미로, 환자들이 약값을 전부 스스로 감당해야 한다는 뜻이다. 간질성폐질환 동반 폐고혈압은 폐가 서서히 굳어가는 과정에서 폐동맥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치명적인 희귀질환이다. 환자들은 극심한 호흡곤란과 운동능력 저하에 시달리며, 결국 심장에 무리가 가 생명까지 위협받는다. 5년 생존율이 30%대에 불과할 정도로 예후가 매우 나쁘다. 이들에게 유일한 희망은 폐 이식이지만, 그 길은 멀고도 험난하다. 2022년 대한의학회지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20년까지 폐 이식 대기자 1천671명 중 절반이 특발성폐섬유증 환자였으며, 이들 중 31%는 이식을 기다리다 끝내 숨을 거뒀다. 폐 이식 평균 대기 시간은 947일, 2년 반이 넘는 고통의 시간이다. 이런 절박한 상황에서 타이바소는 임상시험에서 환자의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