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레놀 품은 하기스 기저귀…트럼프 '자폐증 주장'은 리스크

합병 시 P&G 이어 세계 2위 소비재 기업으로…연 매출 46조원 규모

 하기스 기저귀 등을 만드는 킴벌리클라크가 진통제 타이레놀을 생산하는 켄뷰를 400억여달러(약 57조4천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보도했다.

 킴벌리클라크는 현금과 주식을 결합해 켄뷰의 주식 1주당 21.01달러를 인수 대금으로 지급한다. 직전 거래일 종가인 14.37달러에 46%의 프리미엄을 얹은 것이다.

 부채를 포함한 총 거래 가치는 487억달러(약 69조9천억원)라고 킴벌리클라크는 밝혔다.

 여기엔 가정에서 널리 쓰이는 크리넥스 티슈와 하기스 기저귀, 코트넬 화장지, 뉴트로지나·아비노 화장품, 타이레놀, 구강세정제 리스테린 등이 포함된다.

 두 회사는 합병이 내년 하반기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했다. 합병 회사는 마이크 슈 킴벌리클라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끌게 된다.

 이번 인수는 올해 이뤄진 기업 거래 중 최대 규모 중 하나라고 WSJ은 전했다.

 다만 이번 거래로 킴벌리클라크는 법적·정치적 위험에 노출된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타이레놀의 유효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증의 원인일 수 있다며 안전성 논란을 제기한 바 있다.

 이후 켄뷰의 주가는 곤두박질쳤다.

  당장 3분기에 타이레놀이 포함된 사업 부문 매출이 감소했고, 자폐증 유발에 대한 책임을 묻는 손해배상 소송이 확대될 수도 있다.

 또 존슨즈 베이비파우더에 들어간 탤크(활석) 성분을 둘러싸고 미국·캐나다 외 지역에서 진행 중인 소송의 책임이 킴벌리클라크에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번 인수는 성장을 모색해온 슈 CEO가 켄뷰에 큰 베팅을 하는 것이라고 WSJ은 진단했다. 이 회사는 유니레버·프록터앤드갬블(P&G) 같은 경쟁사에 뒤지고 있었다.

 합병이 성사되면 킴벌리클라크는 소비재 기업 중 P&G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로 올라서면서 고수익 헬스케어 시장에서 켄뷰의 인기 상품을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

 슈 CEO는 투자자 전화회의에서 "소비자들이 점점 더 헬스와 건강을 우선시하고 있다는 걸 우리는 안다"며 "합병으로 우리는 세계 최대 순수 소비자 헬스 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켄뷰는 존슨앤드존슨(J&J)으로부터 2023년 분사했지만 2년 만에 다시 인수 대상이 됐다.

 올해 초부터는 회사 매각 등을 요구하는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압박에도 시달려왔다. 행동주의 투자자 스타보드 밸류가 올해 초 마케팅 전략 수정 등을 요구하며 주주 대표 싸움에 나서자 켄뷰는 이사회 의석 3석을 내줬고, 톰스 캐피털·서드포인트·D.E.쇼 등도 켄뷰 지분을 확보하고 매각을 압박했다.

 이들은 타이레놀 논란으로 켄뷰의 주가가 급락하면서 투자 손실을 볼 처지였지만 이번 인수로 손해는 면할 듯하다고 WSJ은 전했다.

 이날 합병 소식 뒤 킴벌리클라크의 주가는 25년 만에 가장 큰 폭인 14.57%나 빠진 반면, 켄뷰의 주가는 12.32% 급등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피검사 '할인 관행' 메스…정부 "손실은 진찰료로 보전"
정부가 병의원의 피검사, 소변검사 등 검체 검사 비용 지급 방식을 수십 년 만에 손질하기로 하자 의료계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핵심은 병원이 검사기관에 검사를 맡길 때 발생하던 불투명한 '할인' 관행에 칼을 대겠다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개원가의 반발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절감되는 재원을 '진찰료'나 '상담료'로 되돌려주는 보상책을 제시했다. 1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현재는 환자가 동네 의원에서 피검사를 하면, 건강보험공단은 검사비와 '위탁관리료(10%)'를 합쳐 의원에 일괄 지급한다. 의원은 이 돈을 받아 전문 검사기관(수탁기관)에 검사비를 주는데,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의원들이 더 많은 할인을 제공하는 검사기관과 계약하면서 과도한 경쟁이 붙고, 심지어 리베이트 성 거래까지 이뤄진다는 게 정부의 진단이다. 이런 불투명한 거래는 결국 검사의 질을 떨어뜨려 환자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정부는 의원과 검사기관이 각각 건강보험에 비용을 '분리 청구'하도록 제도를 바꿔 돈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개원가에서는 당장 눈에 보이는 검사료 수입이 줄어든다며 반발하고 있다. 의사들은 환자 상담, 검체 채취, 결과 설명 등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에크모 치료 난제 '염증', 혈액정화요법으로 새 길 찾는다"
에크모(ECMO·체외막산소공급장치) 치료 중에 발생하는 염증을 줄이기 위한 접근법으로 '혈액정화요법'의 가능성을 평가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양정훈·고령은 중환자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염증성 물질과 내독소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혈액정화요법을 에크모 치료와 병합하는 접근법을 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약물치료가 어려운 쇼크 환자는 심장과 폐 대신 체외에서 혈액을 순환시키며 산소를 공급하는 '에크모' 치료를 받는다. 하지만 쇼크로 인한 내재적 염증과 체외 혈액순환으로 유발되는 염증 반응이 과도한 '사이토카인 폭풍'이 발생할 수 있어 염증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특수필터(옥사이리스)로 혈액정화요법을 시행한 환자와 평소처럼 치료한 환자를 비교했다. 혈액정화요법은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최근 적용하는 새로운 치료법으로, 초기 임상시험에서는 혈액 속 내독소(endotoxin)와 염증 유발 인자를 제거해 쇼크를 개선했다. 연구 결과 혈액정화요법을 시행한 환자에게서 염증 매개물질인 인터루킨-6의 수치가 에크모 치료 시작 후 24시간째에 감소하기 시작했고, 7일째에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다른 염증 지표인 염증 유발 성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