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가기 싫어, 이 시대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간다는 것

(미디어온) 유리천장 아래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간다는 것.

지난 7일 방송된 KBS 2TV 드라마 ‘회사 가기 싫어’ 에서는 일과 육아를 함께 병행해야만 하는 이 시대의 워킹맘 이야기를 다뤘다.

양선영(김국희 분)은 아침부터 정신이 없다. 일도 육아도 함께 병행해야만 하는 이 시대의 워킹맘이기 때문이다. 아픈 아이들을 시댁에 맡기고 오느라 반차까지 쓰고 출근한 선영. 팀원들의 눈치를 보며 출근하는 모습은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강백호(김동완 분)는 육아와 일로 허덕이는 선영을 지켜보며 진행하고 있는 업무에 차질이 생길까 염려한다. 급기야 선영이 맡고 있던 업무를 상욱(김중돈 분)에게 넘기려 하고 이에 발끈한 선영은 ‘알아서 잘 진행하고 있는데 왜 자꾸 넘기라고 하세요?’라며 반박한다. 하지만 백호는 ‘이 일에 전적으로 올인할 수 있는 분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하며 갈등이 심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야근을 해야 하는 선영은 설상가상으로 남편이 회식하고 온다는 전화를 받게 되고, 시댁에 있는 아이들을 데리러 갈 사람이 없어 난감해 한다. 최영수(이황의 분)는 선영에게 ‘일 욕심이 많은 것도 좋지만 애들은 엄마가 봐야지’라고 말해 선영의 참아왔던 설움을 폭발하게 하고 일순간 긴장감을 자아냈다.

한다스에서는 ‘한다스의 슈퍼맘들’이라는 주제로 선영에게 인터뷰를 제안한다. 선영은 ‘저는 이 세상에 슈퍼맘은 없다고 생각해요’라고 인터뷰를 시작해 주의를 놀라게 했다. 선영의 인터뷰는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워킹맘들의 솔직한 마음을 대변하며 위로와 공감을 얻었다.

실시간 게시판에 ‘배우들의 진정성 있는 연기가 좋았다’, ‘현실 반영이 된 드라마라 공감 된다’, ‘현실에 없는 진짜 드라마일 뿐이었으면’ 등 시청자들의 다양한 공감 글이 이어지며 드라마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특히 지난 5회 방송에서는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설수대가 특별 출연해 시청자들에게 반가움을 선사하며 눈길을 사로잡았다. 직장인들의 삶과 애환을 그린 초밀착 리얼 오피스 드라마 ‘회사 가기 싫어’는 매주 화요일 밤 11시 10분 KBS 2TV에서 방영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