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식품안전청, 식용 곤충 첫 안전성 인정"

 유럽식품안전청(EFSA)이 13일(현지시간) 말린 '갈색거저리'(mealworm beetle) 애벌레를 사람이 음식으로 먹어도 안전하다고 밝혔다고 AFP 통신 등이 전했다.

 이 같은 판단은 EU 27개 회원국에서 이 곤충을 식용으로 판매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전 필요한 예비 단계로, EFSA가 식용 곤충 제품에 대해 내린 첫 위험도 평가다.

 EFSA 관계자는 이번 결정은 EU 차원의 승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EFSA는 갈색거저리 애벌레가 말린 곤충을 통째로 먹거나 가루 형태로 섭취할 때 모두 안전하다고 판단했다면서 그 주요 구성 성분은 단백질, 지방, 섬유질이었다고 밝혔다.

 EFSA는 다만 이 곤충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EFSA는 귀뚜라미, 메뚜기 등 다른 곤충에 대해서도 음식으로 소비하기에 알맞은지를 평가할 예정이다.

 AFP는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등 세계적으로 이미 1천종의 곤충이 식탁에 오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소수의 EU 회원국에서도 곤충이 식용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