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안 줄이면 2100년 한국 해수면 73㎝ 상승"

해양조사원, 서울대 연구팀과 공동 분석…"온실가스 배출 거의 없으면 40㎝↑"

 지구온난화에 따라 2100년에는 한국 주변 해역의 평균 해수면이 최대 73㎝ 정도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국립해양조사원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대학교 조양기 교수 연구팀과 국내 최초로 '고해상도 지역 해양기후 수치예측모델'을 적용한 한국 해수면 상승 전망치를 25일 공개했다.

 이번 전망치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것으로 온실가스가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계속 배출되는 시나리오를 적용할 경우 2100년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은 최대 73㎝까지 상승한다.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 경우에는 약 51㎝, 온실가스 배출이 거의 없어 지구 스스로가 회복하는 경우에는 약 40㎝ 더 높아질 전망이다.

 해수면 상승 폭과 상승률은 이 세 가지 경우 모두에 대해 서해보다 동해가 소폭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앞서 IPCC는 2014년 채택한 제5차 평가보고서에서 21세기 후반 전 세계 해수면이 26∼82㎝ 정도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이번 전망치도 이와 비슷하게 나왔다.

 다만 IPCC에서 그동안 제공했던 예측모델인 '전 지구 기후예측 결과'(CMIP)는 해상도가 낮아 해수면 상승 정보를 상세하게 이해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국립해양조사원은 고해상도의 해양기후 수치예측모델을 별도로 구축해 이번 전망치를 내놓았다고 밝혔다.

 홍래형 해양조사원장은 "최근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며 신기후체제 출범, 탄소중립 선언 등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면서 "기후변화 추세에 따른 정교한 해수면 상승 전망이 우리 연안 관리와 정책 추진에 중요한 기초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