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일한다고 생산성 높아지지 않는다…오히려 감소"

서울성모병원 강모열 교수 연구팀 근로시간·생산성 관계 분석
52시간 이상 근로 시 40시간 근무자보다 5.1∼6.6% 생산성 저하

 오래 일한다고 해서 노동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히려 주당 52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법정 근무시간인 주당 40시간 근무하는 사람보다 생산성이 최대 6.6%까지 떨어졌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동욱 강사 연구팀은 2020년 1월부터 2월까지 만 19세 이상 임금 근로자 3천890명에 설문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주당 근로시간이 길어질수록 건강 관련 노동 생산성 손실이 점차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건강 관련 노동생산성 손실이란 건강 문제로 인한 결근, 조퇴, 지각 등 근로시간 손실과 출근했으나 건강 문제로 업무수행 능력이 저하된 상태 등을 칭한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주당 근로시간에 따라 ▲ 40시간 미만 ▲ 40시간 ▲ 41∼51시간 ▲ 52시간 이상 등 네 개 그룹으로 나눈 뒤 건강 관련 노동생산성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주당 52시간 이상 근무자는 40시간 근무자와 비교해 건강 관련 노동생산성 손실 위험이 남성은 5.1%, 여성은 6.6% 더 많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노동현장에서 생산량을 높이려고 장시간 노동을 하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근로자의 건강 상태를 악화시켜 오히려 노동생산성이 나빠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비용 측면에서나 생산성 측면에서 경제적인 선택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직업환경의학 분야 국제학술지(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에 지난해 12월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