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2명 중 1명은 탈모 걱정"…관리용품 수요 '쑥'

 

 남성 2명 가운데 1명은 탈모 걱정을 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탈모 관리 용품 수요도 늘고 있다.

1일 시장조사업체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지난달 4일 20~40대 남성 7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6%는 탈모 관련 걱정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령별로는 40대의 51.2%가 탈모를 걱정했고, 30대와 20대는 각각 48%, 38.8%를 기록해 나이가 많을수록 불안감이 컸다.

탈모 관련 증상(복수 응답)으로는 모발이 가늘어지는 현상이 38.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그 뒤를 머리를 감을 때 머리가 많이 빠지는 경우(24.3%)와 M자형 탈모 증상(23.1%), 정수리 탈모 증상(14.1%) 등이 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53%는 탈모 관리 노력을 하고 있었다.

관리 방법(복수 응답)으로는 탈모 완화용 샴푸 사용이 39.2%를 차지해 가장 대표적이었다.

40대의 20%는 두피 지압기, 빗 등을 이용해 마사지한다고 답했다. 30대의 15.2%는 탈모 치료 약을 먹는다고 말했다. 반면 20대는 60%가 탈모 관리를 하지 않고 있었다.

대한모발학회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집계 기준 2019년 탈모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총 23만 명으로 이중 44%는 20∼30대였다.

실제로 젊은 세대의 탈모 관리 용품 수요는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2일까지 CJ올리브영의 탈모 완화 기능을 갖춘 헤어용품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9% 늘었다.

특히 20~30대 젊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매출이 27% 뛰었다.

두피 강화, 모발 뿌리 영양 공급 등의 기능을 가진 탈모 완화용 샴푸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올리브영은 설명했다.

같은 기간 온라인몰인 G마켓에서도 남성 소비자의 두피·탈모 케어 용품 구매량이 245% 급증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과거 중장년층 남성 위주였던 탈모 시장에 젊은 세대까지 빠르게 유입되고 있다"며 "어쩔 수 없는 숙명으로 치부되던 탈모가 관리를 통해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젊은 세대의 관심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