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대신 '생활여행'…국내여행보험, 코로나 이전 57% 회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하며 '생활 여행'을 중심으로 여행 수요가 살아나는 조짐이 보인다.

 1일 보험연구원 'KIRI 리포트'에 실린 '코로나19 장기화와 여행보험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여행보험 판매(신계약)량은 코로나19 충격으로 82.4% 추락했다.

 국가 간 이동 제약으로 사실상 해외여행이 차단되며 6개 주요 손해보험사의 해외여행보험 계약량은 250만8천건에서 37만2천건으로 85% 급감했다.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뒤덮은 2∼4분기 해외여행보험 계약량은 1년 전의 2∼4% 수준에 그쳤다.

 

[보험연구원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지난해 국내여행보험 계약량은 2019년보다 54.4% 감소했다.

 2분기 국내여행보험 계약량은 1년 전보다 70%나 위축됐지만 점차 늘어나 4분기에는 2019년의 57% 수준까지 회복했다. 작년 12월 초 확진자가 급증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조처가 강화되고 5인이상 사적 모임이 제한된 것을 고려하면 4분기에 국내 여행 수요가 상당히 회복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성희 연구위원과 문혜정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여행 수요가 생활권역 내 일상과 연계된 '생활 여행' 중심으로 재편되며 여행보험시장이 국내여행보험 중심으로 조금씩 회복양상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표] 2019·2020년 여행보험 계약 현황

 

  2020년 2019년 증감률
국내여행보험 113,915건 249,655건 -54.4%
해외여행보험 372,418건 2,508,135건 -85.2%
486,333건 2,757,790건 -82.4%

 

자료, 보험연구원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여행보험시장이 전반적으로 심하게 위축됐으나 새로운 수요에 따른 보험상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소개했다.

 예를 들어 태국 보건당국은 보험업계와 손잡고 외국인 관광객이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치료비로 최대 320만바트(약 1억2천만원)를 보상하는 보험을 개발했다. 알리안츠는 코로나19로 인한 여행 취소·중단, 여행 중 응급치료, 긴급 서비스 등을 보장하는 코로나19 맞춤형 여행자보험 상품을 내놨다.

 정 연구위원과 문 연구원은 "여행 중 감염병이나 예상 밖 변수로 인한 여행 취소 우려가 커지며 이에 대한 보장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며 "보험산업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대응해 '위드(with) 코 로나19' 여행 수요를 반영한 상품 개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