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 3월로 앞당기는 방안 검토한다…기온 상승 고려

산림청, 공휴일 지정도 필요하면 추진
올해 남산 70배 면적에 4천800만 그루 나무 심어

 산림청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을 고려해 4월 5일 식목일을 3월로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올해 식목일을 전후해서는 서울 남산 면적의 70배에 달하는 2만여㏊에 나무 4천800만 그루를 심을 계획이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올해 나무 심기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박 청장은 "지구온난화로 나무 심는 기간이 다소 앞당겨지고 있다"며 "4월 5일 식목일도 3월로 앞당겨야 한다는 여론이 지속해서 제기돼 타당성을 신중하게 검토해 볼 시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수목의 생리적 특성과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국민 여론과 이해관계자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박 청장은 "식목일을 앞당기려면 행정안전부의 기념일 관련 시행령을 개정해야 한다"며 "필요하면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해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식목일은 조선 성종 24년 3월 10일(양력 4월 5일) 왕이 동대문 밖 선농단에서 직접 밭을 일군 날을 기념해 1946년 제정됐다. 올해가 76회째다.

 그동안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4월은 기온 상승으로 나무 심기에 적합하지 않은 만큼 2∼3월로 앞당겨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박 청장은 이어 "올해는 탄소중립 선언 이후 처음으로 실행되는 나무 심기 원년으로, 모든 국민이 동참하도록 분위기를 만들어 2050년까지 30억 그루를 심고 가꿔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나무심기 추진계획

 산림청은 지난달 24일 경남 거제 국유림 일대에서 첫 나무 심기 행사를 했고, 다음 달 말까지 전국적으로 나무 심기를 추진한다.

 경제림 육성단지 등 1만5천㏊에 경제수종과 특용 자원(옻나무·헛개나무 등), 섬 지역 등 지역 특색에 맞는 산림자원을 육성한다.

 도로변·생활권 경관 조성을 위한 나무 심기 3천㏊와 2019∼2020년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 복구를 위한 조림 1천㏊도 추진한다.

 산불에 강해 대형산불로 확산을 방지할 내화 수림대도 351㏊ 규모로 새로 조성한다.

 도시 외곽 산림에 미세먼지 저감 숲 1천68㏊와 산업단지 등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 주변에 미세먼지 차단 숲 156㏊도 조성한다.

 바람길 숲, 생활밀착형 숲, 무궁화동산 등 도시 숲 75곳과 사회적 약자층을 위한 복지시설 나눔 숲 34곳, 올해 새로 추진하는 자녀안심 그린 숲 50곳 등도 조림사업과 함께 추진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비대면 온라인 '내 나무 갖기 캠페인'을 벌여 각  가정에서 한 그루의 나무를 심도록 할 계획이다.

 각종 캠페인은 산림청 누리집(www.fores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