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가 안받은 방한용 마스크가 코로나19용?…허위·과대광고 적발

식약처, 사이트 215건 접속 차단…"구입시 의약외품·의료기기 표시 확인해야"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허위·과대 광고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제품을 판매한 사이트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스크, 손소독제, 체온계 등 코로나19 보호용 의료제품과 의료제품이 아닌 공산품 등을 광고·판매하는 사이트를 대상으로 온라인 광고 1천12건을 점검한 결과 허위·과대광고를 한 사이트 215건을 적발해 접속차단 조치를 했다고 4일 밝혔다.

 주요 적발 사례를 보면 마스크 중에서도 식약처 허가를 받지 않은 천·방한용 마스크 등 일반 공산품 마스크가 유해물질 차단이나 호흡기 보호 기능이 있다고 허위로 광고해 판매한 경우다.

 식약처에 따르면 액체저항성, 입자 차단능력 등을 검증받아 식약처 허가를 받은 마스크는 보건용마스크(KF99·94·80), 비말차단용 마스크(KF-AD), 수술용마스크 등이다.

 다만 이들 중에서도 차단율 등을 실제 인증을 받은 기능보다 과장 광고해 판매한 사례도 다수 적발됐다.

 또 다른 대표적 의약외품인 손소독제 중에서는 허가받지 않은 해외 제품을 판매하거나 과대광고한 사례, 허가를 받지 않은 공산품을 의약외품인 것처럼 판매한 사례가 주를 이뤘다.

 화장품으로 분류되는 손세정제를 소비자가 의약품인 것처럼 오인하게끔 광고를 한 제품들도 있었다.

 체온계 중에서는 의료기기 허가를 받지 않은 공산품이나 해외 제품을 판매한 사례 등을 적발했다고 식약처는 전했다.

 식약처는 코로나19 보호용품으로 허가받은 의약외품(마스크, 손소독제) 및 의료기기(체온계)를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판매·광고 사이트, 제품 포장 등에서 '의약외품' 또는 '의료기기' 표시를 꼭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