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술·홈술로 좀 적게 더 자주 마신다…월평균 9일 음주"

농림부·aT 지난해 조사 보고서…2019년 8.5일보다 증가
하루 평균 음주량은 6.9잔→6.7잔 감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혼술', '홈술' 등의 확산으로 성인들의 술 마시는 날은 늘었지만 하루 평균 음주량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펴낸 '2020 주류산업정보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주류 소비자의 월평균 음주 빈도는 9.0일로 나타났다.

 월평균 음주 빈도는 2016년 8.9일에서 2017년과 2018년 각 8.8일, 2019년 8.5일로 감소하다 지난해 반등한 것이다.

 이 조사는 지난해 9월 2∼15일 전국 19∼59세 성인 남녀 가운데 월 1회 이상 주류를 소비하고, 6개월 이내 전통주를 마신 적 있는 소비자 2천 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월 음주 빈도가 증가한 것과는 달리 음주 시 하루 평균 음주량은 지난해 6.7잔으로 2019년 6.9잔보다 감소했다.

월평균 음주 빈도 최근 5개년 추이

 응답자들은 지난해 주류 트렌드(복수응답)로 '혼술'(74.9%)과 '홈술'(72.0%)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뒤를 '다양한 맥주'(54.9%), '편의점 구입'(49.9%), '즐기는 술'(49.6%), '도수 낮은 술'(34.7%) 등이 이었다.

 술 종류별 음용 비중은 맥주가 41.4%로 가장 컸고 그다음으로 소주(32.7%), 전통주(15.1%), 수입 와인류(4.5%) 등의 순이었다.

 이를 2019년과 비교하면 맥주는 4.5%포인트, 수입 와인류는 0.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소주는 0.2%포인트, 전통주는 5.0%포인트 감소했다.

 '가장 좋아하는 주종'으로는 맥주(46.3%), 소주(29.3%), 전통주(10.4%), 수입 와인류(5.3%) 등의 순으로 꼽혔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주류 소비 행태는 25∼34세 여성의 경우 친구의 집 등에서 마시다 보니 음주의 양이 늘거나 비싼 술들을 먹게 된다는 응답자의 의견이 있었다"며 "35∼44세 남성은 주로 혼술을 하거나 집에서 가볍게 음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소개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