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환자 90%, 도움 구하지 않아…사회적 부담 심각"

얀센, 아시아·태평양 우울증 스펙트럼 분석 백서 발표
한국인 4명 중 1명, 일생에 한 번 우울증 등 정신질환 겪어

 

 우리나라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우울증 환자 대부분이 별다른 도움을 구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우울증 환자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심각하지만 우리 정부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1인당 지원하는 비용은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도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적제약사 존슨앤드존슨의 제약 부문 회사 얀센은 17일 이런 내용의 '아시아 우울증 스펙트럼 분석 백서'를 공개했다.

 백서에는 호주, 중국, 홍콩, 일본, 한국, 대만 등 아시아태평양 6개국의 우울증 현황과 국가별 정책 상황 등이 담겼다. 존슨앤드존슨의 후원으로 싱가포르의 시장조사기관 KPMG가 작성했다.

 백서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우울증 환자의 90% 이상은 적절한 도움을 구하지 않고 있었다.

 이런 경향은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백서는 보건복지부 통계를 인용해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은 평생에 한 차례 이상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겪을 정도로 취약하지만 실제 병원을 찾아 도움을 구하는 비율은 10%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특히 높은 자살률에 비해 정부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집행하는 예산이 다른 나라들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는 2018년 기준 26.6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다.

 그러나 정부가 연간 1인당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에 지출하는 금액은 71달러로, 6개국 중 아래에서 두 번째다. 최하위는 정부의 1인당 지출이 24달러에 불과한 중국이었다. 가장 큰 비용을 지불하는 국가는 호주(400달러)였다.

 KPMG의 헬스케어 및 생명과학부의 크리스 하데스티 이사는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집행되는 예산 비중과 규모가 적은 편"이라며 "한국은 자살률이 높아 우울증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높으므로 좀 더 섬세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서도 정부가 우울증, 특히 약물이 잘 듣지 않는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들을 위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문두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이사장은 "우울증 등 정신질환은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노력과 함께 환자가 조기에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다방면의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정신질환자는 환자뿐 아니라 가족, 사회가 겪는 어려움이 크므로 국가가 나서서 치료에 도움을 줄 방법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