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향한 SNS 시선, 기대감에서 불안감으로 바뀌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향한 소셜미디어(SNS) 여론이 기대감에서 불안감으로 바뀌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종합커뮤니케이션그룹 KPR 부설 KPR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는 지난해 2월∼올해 1월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담론 분석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연구소가 약 72만건의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해보니,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지난해 1분기에는 백신에 대한 기대감이 컸으나,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백신 부작용에 관한 불안감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매스미디어(대중매체·언론)가 백신 개발 및 확보 관련 정보를 주로 다뤄도, 소셜미디어에서는 백신과 정부 정책에 관한 신뢰도 문제가 자주 언급됐다.

 키워드를 분석해보니 트위터에서는 백신을 둘러싼 '안전' 관련 키워드가 많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를 향한 부정적 견해가 다수 공유되는 등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SNS에 많았다.

 KPR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 김은용 소장은 "팬더믹이 1년 넘게 장기화하다 보니 백신에 대한 기대감과 불안감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백신 온라인 담론 관련 분석 내용은 KPR 디지털매거진에 게재됐다. KPR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