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로봇과 인간 공존 모색…열리는 '로봇 대항해 시대'

 인간과 로봇의 공존이 일상화하는 시대를 맞아 로봇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2021 로봇 미래전략 콘퍼런스'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영상축사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요구로 다양한 분야의 로봇 수요가 폭발적으로 발생하면서 '로봇산업의 대항해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로봇 4대 강국 진입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선제적 규제혁신, 로봇 핵심기술 확보, 보급 확대 등 로봇산업 지원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콘퍼런스 기조 강연에서 짐 데이토 미국 하와이대 미래전략센터장은 로봇, 인공지능 등 신기술 등장에 따른 노동의 변화와 향후 인간·로봇 간 협력적 소통 방안을 제시했다.

 김상배 MIT(매사추세츠공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최첨단 로봇 기술인 '피지컬 인텔리전스'의 연구 현황을 소개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해 첨단 로봇이 생활 저변에 확산할 것으로 전망했다.

 피지컬 인텔리전스는 빵에 잼을 바르거나 주머니에서 동전을 꺼내는 것과 같이 인간이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하는 복잡한 행동을 수행하는 운동지능을 말한다.

 이어진 토크쇼에서는 인간과 로봇의 교감 거리가 급격히 좁혀지는 상황에서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패널 토론이 이뤄졌다.

 CES 2021로 본 로봇산업과 인공지능 트렌드 분석(고경철 카이스트 연구교수), 미국 실리콘밸리 로봇시장 동향과 전망(손재권 더밀크 대표), 인간과 로봇 공존을 위한 사회적 과제(민경배 경희사이버대 교수) 등 초청 강연도 진행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산림과학원 "보리밥나무, 탈모 예방에 효과…특허 등록"
국내 자생식물인 보리밥나무가 모발 성장·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세포를 강화해 탈모 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상록 활엽 덩굴나무인 보리밥나무는 해안 지대에서 잘 자라며, 작은 가지에 은백색과 연한 갈색의 비늘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방에서는 '동조'(冬棗)라는 한약재로 불리며 천식·기침·가래·당뇨 등 증상에 약재로 활용돼 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22년부터 모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산림바이오자원 발굴을 위해 170여종의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보리밥나무가 모유두세포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세포 실험에서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1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 농도로 처리했을 때 모유두세포 활성이 150%, 30㎍/㎖에서는 1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두세포와 관련된 바이오마커(체내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 역시 보리밥나무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피부 안전성 평가에서 무자극 등급을 받아 원료의 안전성을 확보했으며,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앰플 시제품을 제작해 활용성과 안정성까지 검토했다고 산림과학원은 전했다. 해당 연구 결과에 대한 특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