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등 호흡기 감염 30분 만에 확인…신속 검출기술 개발

재료연구원·삼성서울병원, 국내 진단기업과 조기 상용화 추진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구원)은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급성 호흡기 감염병을 일으키는 유전자 8종을 30분 안에 진단하는 유전자 증폭(PCR)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재료연구원 나노바이오융합연구실 박성규·정호상 박사 연구팀과 삼성서울병원 의공학연구센터 이민영·우아영 박사 연구팀이 현장형 신속 유전자 검출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사용 중인 코로나19 바이러스 진단기술은 현장 분석이 어렵다.

 시료 채취 후 확진 여부 판단까지 4시간 이상이 걸려 감염자 조기 격리가 어렵다.

 재료연구원·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은 분자 광신호를 수백 배 증폭시키는 광증폭 나노소재 기술에 PCR 기술을 융합해 섭씨 37도의 항온 상태에서 30분 이내에 호흡기 감염 병원체 유전자를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동시에 칩 하나만으로 폐렴구균 등 박테리아 4종, 코로나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4종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3차원 어레이 센서도 함께 개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임상시험을 진행해 기술 신뢰성을 확인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 인허가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연구책임자인 박성규 재료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삼성서울병원, 국내 진단기기 업체를 통해 현장형 분자진단기기 조기 상용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분석화학 분야 최고 저널 '바이오센서 앤 바이오 일렉트로닉스' 지에 실렸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