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면 함께 늙는 뇌, 신경줄기세포로 회춘할 수 있다

신경줄기세포 노화 기제 규명, 노화 촉진 '허브 유전자'도 발견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동물실험서 억제 효과…저널 '셀 스템 셀' 논문

 실제 나이와 생물학적 노화(biological aging)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외모가 나이보다 젊게 보이는 사람도 있지만 더 늙어 보이는 사람도 적지 않다.

 나이가 들면 뇌세포도 퇴행하는데 여기에 깊숙이 관여하는 게 신경줄기세포((NSCs)다.

 신경줄기세포는 여러 가지 신경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만능 세포를 말한다.

 배아 발생 과정에서 신경줄기세포는 신경 전구세포를 만들고, 신경 전구세포는 신경세포나 교세포가 된다.

 신경줄기세포는 특히 나이가 들면서 찾아오는 노화에 취약하다.

 기본적인 인지 기능의 퇴화는 물론이고 치매, 알츠하이머병, 간질, 뇌 손상 등의 신경질환도 신경줄기세포의 노화와 관련이 있다.

 이런 신경줄기세포의 노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신경줄기세포의 노화를 촉진하는 유전자 네트워크와 그 안에서 일종의 허브(hub) 역할을 하는 핵심 유전자(Abl 1) 유전자를 찾아낸 것이다.

 연구팀은 또 백혈병 치료제로 미국 FDA(식품의약국) 승인을 받은 글리벡(일반명 이매티닙)이 Abl 1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도 동물실험에서 확인했다.

 USC 의대의 마이클 보나구이디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저널 '셀 스템 셀(Cell Stem Cell)'에 논문으로 실렸다.

 13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인간의 아동·중년·노년에 해당하는 세 그룹으로 나눠 생쥐 모델의 신경줄기세포를 관찰했다.

 여기서 분열 특성이 다른 '단기 NSCs'와 '장기 NSCs'가 따로 존재한다는 걸 알아냈다.

 단기 NSCs는 한 단계 더 특화된 뉴런(신경세포)으로 빠르게 분화했다.

 이와 달리 장기 NSCs는 계속 분열하고 복제하면서, 필요할 때 여러 유형의 뇌세포를 생성하는 데 쓸 '예비 줄기세포'를 비축했다.

 그런데 나이 든 생쥐는 핵심적인 장기 NSCs 그룹이 원래 규모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열 횟수가 크게 줄어 사실상 '휴지(quiescence)' 상태에 빠졌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런 장기 NSCs 유전자를 수천 개를 분석한 끝에 어린 생쥐와 중년 생쥐의 유전자 활성도가 크게 다르다는 걸 확인했다.

 예상대로 장기 NSCs의 분열 횟수와 뉴런 분화 등을 조절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었다.

 특히 생물학적 노화와 연관된 유전자는 생각보다 어릴 때부터 활성도에 큰 변화가 생겼다.

 노화 촉진 유전자는 기본적으로 세포의 DNA 손상 복구, 유전자 활성도 조절, 염증 통제, 스트레스 대응 등을 더 어렵게 했다.

 노화 촉진 유전자 중에서 Abl 1에 주목한 건 관련 유전자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신경 줄기세포 생물학에서 Abl 1은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했다. 발달이든 노화든 본격적으로 이 유전자의 역할을 연구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다행히 글리벡을 쓰면 이 유전자의 발현이 쉽게 억제됐다.

 늙은 생쥐에게 6일간 투여했더니 Abl 1의 발현이 억제되고, 뇌의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hippocampus) 영역에서 신경줄기세포의 분열이 빨라졌다.

 연구팀의 궁극적인 목표는 나이가 들어 퇴행한 뇌가 도로 젊어지게 하는 약을 개발하는 것이다.

 보나구이디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1단계 성공에 불과하다"라면서 "2단계는 줄기세포가 더 많은 신경세포로 분화하게 유도하는 것이고, 3단계는 이렇게 늘어난 신경세포가 학습과 기억을 향상한다는 걸 입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신경줄기세포를 고갈시키지 않으면서 더 많이 분열하게 유도할 수 있다는 것만 해도 '최종 목표를 향한 흥미로운 진전'이라고 자평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심혈관계 질환 예방 습관
필자는 오랫동안 혈관 건강의 중요성을 알려왔다. 필자의 주변에도 급작스럽게 추위가 찾아올 때 갑자기 혈관이 수축해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질병에 노출된 사람이 많았던 사실을 기억한다. 이런 질병으로 돌연사를 하는 사람 대다수가 심뇌혈관 질환을 앓고 있었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핏덩어리인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이 막히는 동맥경화증 때문에 발생한다. 동맥이 막히면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해 심장근육이 괴사하는 질병이다. 그렇다면 동맥경화증은 왜 생길까?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는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이 심혈관계에도 나쁜 영향을 끼치며, 흡연과 운동 부족, 음주 같은 평소 잘못된 생활 습관도 위험 요인이다. 비만인 경우도 문제가 된다. 이런 심혈관질환이 위험한 이유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자기가 환자인지 모르고 일상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급성 심근경색증의 치사율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인데, 자신의 질병을 인지하는 환자는 전체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을 앓고 있다면 자기 몸 상태를 늘 확인해야 한다. 고혈압과 당뇨병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는 보건소도 있으니 방문해 상담받는 것도 합병증을 막는 좋은 예방법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종합건강관리학회와 디지털 헬스 실증·학술 협력
대웅제약은 대한종합건강관리학회(이하 대종건)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학술 교류부터 디지털 헬스케어 실증,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의료봉사까지 폭넓은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고 5일 밝혔다. 대웅제약과 대종건은 ▲ 학술 활동 및 연구 증진 ▲ 디지털 헬스케어 진단기기 관련 자문 및 실증 사업 ▲ 의료봉사 및 ESG 연계 활동 ▲ 기타 양 기관이 합의한 보건의료 협력사업 등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대웅제약은 서울대병원강남센터, 서울아산병원, 한국건강관리협회 등 주요 검진기관들이 소속된 대종건과 협업해 디지털 헬스 기반 건강검진과 관련된 학술 행사를 확대하고 신규 디지털 헬스 기술을 위해 적극 투자할 계획이다. 대종건은 디지털 헬스 기술의 임상 자문과 제품 실증을 통해 의학적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술적 기반 강화와 체계적 제품 검증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디지털 헬스를 기반으로 '예방-조기 진단-치료-사후 관리' 전 주기를 학회와 함께 발전시키고 확대해 나감으로써 건강관리 패러다임의 혁신을 이끌고 국민 건강 증진에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기여를 해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동석호 대종건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