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이물 혼입 한약재 '위령선' 3개 품목 회수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물 혼입이 확인된 한약재 '위령선' 3개 제품을 회수 및 폐기 조치한다고 4일 밝혔다.

 각각 엔탭허브, 현진제약, 학교법인 경희학원 제품이다.

 해당 제품들에서는 위령선으로 보이기 위해 기원이 다른 식물 뿌리를 색소 등으로 염색했다고 추정되는 이물이 섞여 있었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을 회수하도록 하고, 구매자는 판매처 또는 구입처에 반품할 것을 당부했다.

 이물이 검출된 위령선은 물에 넣어 휘저었을 때 즉시 색소가 물에 녹아 맨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식약처는 현장 조사를 통해 이물이 혼입된 원인 조사에 착수하고, 위령선 수입통관 검사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위령선 한약규격품의 제조 단위별 유통품 수거·검사를 통해 품질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