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모자 벗을 필요 없어…'꿈의 전자파'로 원스톱 보안검색

한국전자통신연구원·대명티에스 "2024년까지 시제품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명티에스와 함께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해 신발을 벗지 않고도 원스톱으로 보안 검색이 가능한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테라헤르츠파는 1초에 1조 번 진동하는 전자기파이다.

 옷과 신발 등까지 투과하면서도 전자파 에너지가 낮아 인체에 무해하다는 특성 때문에 '꿈의 전자파'라 불린다.

 연구팀은 공항 등에서 보안 검색 시 신발이나 모자 등을 벗을 필요 없이 높은 해상도로 흉기나 폭발물 등 위험 물질을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영상인식 기술을 적용해 위험 물질의 소유 여부를 비대면 방식으로 빠르게 판단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2024년까지 시제품을 개발해 인천국제공항에서 실증한 뒤 2025년 국내 인증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경현 ETRI 미래원천연구본부장은 "터널을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전신 검색이 끝나는 '워크 스루' 시스템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