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올여름 국지성 호우 잦아 산사태 위험 크다"

산사태 취약지역 2만3천194곳·피해복구지 2천981곳 점검 마쳐

 산림청은 올여름 국지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며 산사태 위험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2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1년 여름철 3개월 전망'(6∼8월)에 따르면 여름철 발달한 저기압과 대기 불안정 영향으로 국지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고 지역별 강수량 차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은 산사태의 주원인으로 총 강수량도 중요하지만, 단시간 내 국지적인 집중호우 영향이 큰 만큼 올여름 산사태 발생 위험성이 큰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기상청의 시간당 30㎜ 이상 호우 일수 분석과 산사태 발생면적의 10년 이동평균을 대조해본 결과 유사한 발생 추이를 나타내, 국지성 집중호우와 산사태 발생 위험의 연관성이 높았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4월 말 기준 산사태 취약지역 2만3천194곳, 산사태 피해복구지 2천981곳, 사방사업 대상지에 대한 현장점검을 마쳤다.

 각종 개발지와 산사태 우려 지역 등도 지속해서 산사태 현장 예방단(전국 760명), 민간전문가 등과 함께 점검할 예정이다.

 산악기상관측망을 올해 50곳 추가하며 413곳까지 늘려 산악기상정보를 종합분석하고, 산사태 주의보·경보 예측정보를 12시간(기존 1시간 전 제공) 이전에 제공하는 '산사태 조기경보 시스템'을 시범 운영한다.

 김용관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올여름도 작년처럼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우가 잦을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산사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며 "체계적인 현장점검과 산사태 예측력 고도화 로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