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생산·가격 안정세…지난주 9천849만 개 생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 속에서 국내 마스크 생산량과 가격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따르면 5월 넷째 주(24∼30일) 의약외품 마스크의 총생산량은 9천849만 개로 원활히 공급되고 있다.

 종류별로는 보건용 마스크가 6천839만 개, 수술용이 346만 개, 비말차단용이 2천664만 개가 생산됐다.

 통계청 조사 결과 이 기간 보건용(KF94) 마스크의 온라인 판매가격은 장당 557원으로 직전 주 550원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오프라인 판매 가격은 1천262원으로 직전 주의 1천276원보다 조금 내렸다.

 비말차단용 마스크는 온라인에서 455원으로 지난주 446원에 비해 조금 올랐다. 오프라인에서는 655원으로 지난주 663원에 비해 조금 내렸다.

 마스크 제조업체는 지난달 30일 기준 1천568곳으로, 지난해 6월 등록된 업체 238곳과 비교했을 때 크게 늘었다.

 품목별로 봐도 현재 허가된 마스크는 총 6천237품목으로 지난해 6월 1천717품목보다 훨씬 많다.

 식약처는 현재 마스크 품목 허가를 위해 보건용 1천10건, 수술용 53건, 비말차단용 364건의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