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진통제 패치 오남용 대거 적발…식약처, 44개 의료기관 적발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5월 31일부터 6월 4일까지 펜타닐 패치 등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처방이 의심되는 의료기관 50곳을 경찰청·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점검해 44곳을 적발했다고 29일 밝혔다.

 타닐 패치는 아편, 모르핀 등 다른 오피오이드 계열보다 더 강력한 효과를 가진 진통제다. 지속적인 만성 통증의 완화를 위해 피부에 부착해 사용하는 의료용 마약류로, 3일에 1매를 쓰게 돼 있다.

 이번 합동 점검 대상은 10∼20대 환자에게 펜타닐 패치를 오남용 처방한 것으로 의심되는 의료기관 34곳, 의사가 스스로 마약류를 오남용해 처방(투약)한 것으로 의심되는 의료기관 16곳이다.

 적발된 44곳을 위반 유형별로 보면 오남용 처방·투약 등 업무 목적 외 마약류 취급 의심 39곳, 진료기록부 미작성 및 마약류 취급 보고 의무 위반 11곳이다. 6곳은 중복 적발됐다.

 오남용 사례로는 약 7개월간 32차례에 걸쳐 145매를 처방하는 등 용법과 용량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 환자가 약 1개월간 3개 의료기관을 돌아다니며 5차례에 걸쳐 43매를 처방받은 경우 등이 있었다. 기타 마약류 진통제 투여 이력 확인 없이 문진만으로 만 18세 미만의 비암성 통증에 처방한 경우도 있었다.

 식약처는 적발된 44개소에 대해서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경찰 등 수사기관에 수사를 의뢰하고 관할 지자체에 행정처분을 의뢰했다.

 아울러 펜타닐 패치를 만 18세 미만의 비암성 통증에는 처방 및 사용하지 않도록 일선 의료현장에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