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자 7월부터 신분증에 붙이는 접종스티커 발급

QR코드 전자증명서, 종이증명서, 접종스티커 3종으로 인증

 내달 1일부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종이증명서와 접종스티커를 주민센터에서도 발급할 수 있다.

 QR코드로 인증하는 기존의 전자증명서를 쓰기 어려운 고령층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29일 "내달에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가 시행되면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접종 증명서를 제시해야 할 상황이 있을 수 있다"면서 증명자료의 종류와 발급방법, 사용방법을 안내했다.

 ◇ 종이증명서…A4용지에 인적사항·백신명·접종차수·접종일·접종기관 담겨

 국가가 실시하는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은 누구나 종이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다.

 종이증명서에는 접종자의 인적사항과 백신명, 접종차수, 접종일, 접종기관 등의 정보가 담겨 있고, A4 용지에 출력된다.

 현재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 누리집'이나 '정부24'에서 무료로 발급할 수 있고, 접종을 받은 예방접종센터나 위탁의료기관, 보건소 등에서도 발급한다.

 다만 위탁의료기관이 발급할 때는 발급비를 부담해야 한다.

 내달 1일부터는 종이증명서를 읍·면·동 주민센터에서도 발급한다.

 해외에서 접종 증빙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영문증명서도 발급이 가능하다.

 ◇ 전자증명서…전용앱에서 발급, 7월부터는 영어로도

 전자증명서는 스마트폰에 전용 앱을 설치하고 본인인증을 거치면 발급된다.

 전자증명서는 종이증명서와 동일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접종 여부를 전자적으로 간편하게 인증하기 위한 QR코드 생성 및 카메라 기능도 제공한다.

 접종 관련 필수 정보 외에 성명이나 생년월일, 국적 등을 포함할지 여부는 본인이 설정할 수 있다.

 현재는 한글로만 제공되고 있으나 내달 중 영어로도 발급되고, 9월부터는 중국어, 스페인어 등 14개 언어가 추가로 지원된다.

 ◇ 예방접종스티커…나이 관계없이 모든 접종자에 발급

 종이증명서를 휴대하거나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접종자를 위해 내달 1일부터 신분증에 부착해 사용하는 예방접종스티커가 발급된다.

 스티커를 부착할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장애인등록증, 외국인등록증, 국내거소신고증 등을 소지하고 주민센터를 방문하면 된다.

[질병관리청]

 스티커는 주민등록증 뒷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가로 45㎜, 세로 9㎜ 크기로 발급되며 이름과 접종회차, 접종일자 등 필수 정보만 담긴다.

 스티커는 1인당 1매만 발급돼 하나의 신분증에만 부착할 수 있다. 코로나19 예방백신을 맞았다면 연령에 상관없이 모든 접종자가 발급받을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