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 출입증으로 백신접종 여부 확인..12일부터 네이버와 토스 등에서 제공

 오는 12일부터는 다중이용시설 출입 시 이용하는 QR코드로 코로나19 예방접종 이력도 간편하게 인증할 수 있게 된다.

 카카오는 질병관리청과 협력해 QR코드 기반 전자출입명부 서비스에 백신 접종 인증 기능을 추가한다고 8일 밝혔다.

 카카오톡 앱의 QR 체크인 화면에서 '접종 정보 불러오기'를 누르고 최초 1번만 동의 절차를 거치면 QR코드에 백신 접종 정보도 함께 담기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통합 QR코드에서는 접종 완료 여부뿐 아니라 각 회차별 접종 이력도 확인할 수 있다.

 백신 접종자는 인증이 필요할 때 별도의 앱을 열거나 종이 증명서를 휴대할 필요 없이 QR코드로 간단히 인증하면 된다. 예방접종증명서는 '카카오톡 지갑'에도 보관된다.

 QR코드로 백신 접종을 인증하는 서비스는 같은 날부터 네이버와 토스 등에서도 제공될 예정이다.

[토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통신 3사 역시 본인인증 패스 앱의 출입증 서비스 'QR X COOV'로 이달 12일부터 전자예방접종증명의 확인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통신 3사는 지난해부터 패스 앱에서 QR코드 기반의 전자출입명부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여기에 전자예방접종증명(COOV 앱)을 연계해 패스 앱의 QR 출입증 화면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게 된 것이다.

 패스 앱의 QR 출입증 서비스는 매회 QR코드를 생성할 때마다 본인 명의의 기기 여부를 확인해 정확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백신 접종 정보는 휴대전화 내부 안전 영역에 보관돼 우수한 보안성까지 갖췄다.

 통신 3사는 각사 패스 앱을 통한 QR 출입증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경품 및 기부 이벤트를 벌인다.

 통신 3사는 "편의성과 보안성을 모두 갖춘 패스 앱으로 방역 관련 서비스를 꾸준히 고도화하겠다"며 "5G 및 인공지능(AI) 기반의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로 본인인증 서비스의 혁신적 고객 경험 확대를 위해 지속해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통신 3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