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4단계 영향 '집콕' 증가…가정간편식 인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적 모임 제한과 재택근무 증가로 가정간편식(HMR) 인기가 더 높아지고 있다.

 HMR 전문기업 테이스티나인은 6월 28일~7월 4일 온라인 시장을 통한 HMR 매출이 전주보다 125% 늘었다고 12일 밝혔다.

 이중 자사 온라인몰 매출은 188% 뛰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모임·회식이 줄고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보관과 조리가 쉬운 HMR 수요가 커진 것이다.

 HMR은 '햇반' 같은 1세대 제품부터 카레, 냉동식품, 컵밥, 국·탕 요리에 이어 식자재와 양념 등을 세트로 제공하는 밀키트, 밀키트보다 조리가 더 간단한 레디밀 상품까지 다양하다.

 이날부터 2주 동안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HMR 수요는 더욱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적 모임은 오후 6시 이전에 4명까지만 가능하고 그 이후에는 2명만 모일 수 있다. 정부는 기업에 30% 이상 재택근무를 권고했다.

 홍주열 테이스티나인 대표는 "거리두기 4단계 격상으로 레디밀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이라며  "이에 대응해 온라인몰 정기배송과 새벽 배송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HMR 전문기업 프레시지 관계자는 "거리두기 강화에 따라 소비자가 집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한 끼 식사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을 계속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프레시지의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은 1천271억원으로 전년보다 78.6%, 테이스티나인은 233억원으로 217.0% 급증했다.

 백화점과 호텔 등도 고성장세를 보이는 HMR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5월 신당동 돼지고기 전문점 '금돼지식당'과 밀키트 '금돼지식당 모둠 구이 세트'를 출시했다.

 유통기업 hy는 같은 달 방송인 이경규씨와 밀키트 브랜드 '잇츠온 경규식당'을 선보였다. 야쿠르트 아줌마로 불리던 이 회사 '프레시 매니저'가 밀키트 제품도 배달한다.

 앞서 CJ제일제당은 올해 밀키트 메뉴를 100여 종 개발해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전문인력과 인프라를 앞세워 시장 트렌드를 이끌겠다는 것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