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6개월 차 심정지 일으켰던 산모 만삭 출산 '기적'

제주대병원 의료진 "급박했던 순간 각자 역할에 충실해 좋은 결과"

 임신 6개월 차에 심정지를 일으켰던 산모가 신속한 신고와 응급처치,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로 만삭 출산에 성공했다.

 심정지를 일으킨 산모 중 산모와 산모가 출산한 아이 모두가 건강한 경우는 세계적으로도 드문 사례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제주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지난 3월 강모(43) 씨는 체외 수정을 통해 귀한 생명을 얻은 지 6개월 차에 갑자기 심정지로 쓰러졌다.

 당시 주변에 있던 행인이 119에 신속히 신고했고, 출동한 119구급대원이 제세동기를 이용해 강씨의 심장이 다시 뛰는 자발 순환회복이 가능하도록 처치했다.

 문제는 이후 강씨의 심장 기능이 정상 기준의 절반 이하로 떨어지고, 부정맥도 발견돼 산모와 태아의 건강은 물론 생존조차 장담할 수 없었던 점이다.

 실제 국내에서 임신 중 심정지는 단 2건만 보고될 정도로 희귀하다. 각각 임신 8개월, 9개월 산모였는데, 8개월 산모는 아이와 함께 생을 마감했다. 9개월 산모는 사망했고, 태어난 아기는 저산 소허혈뇌병증 진단을 받았다.

 강씨는 강한 치료 의지를 보였고, 제주대병원 산부인과와 심장내과 의료진 역시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치료한 끝에 지난달 16일 2.55㎏의 건강한 남자아이가 태어났다.

 강씨는 현재 제주대병원 산부인과와 심장내과에서 정기적으로 방문해 진료를 받고 있으며, 아기는 아무런 후유증 없이 잘 크고 있다.
  강씨의 출산을 맡았던 제주대병원 산부인과 김리나 교수는 "임신 중 심정지는 매우 드물고, 예측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생 시에는 산모와 태아의 생명에 직결되는 중요한 위험 요소"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어 "급박하고 모두가 긴장했던 그 순간, 시민과 구급대원, 의료진들이 각자 역할에 충실했기 때문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