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보도 권고기준' 시행 후 자살률 감소...동조·모방 자살 줄은 탓

삼성서울병원, 자살예방법·자살보도권고기준 시행 후 변화 분석
"'파파게노 효과' 과학적으로 규명된 것"

 유명인의 자살을 다루는 언론 보도의 방향이 변하면 서 일반인의 자살률이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 연구팀은 2005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자살률 추이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최근 자살률이 줄어든 배경으로 언론의 보도 변화를 꼽을 수 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2년 '자살예방법'과 2013년 '자살 보도 권고기준'이 차례로 시행된 후 유명인 자살 보도 후에 한 달간 자살률 증가 폭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호주-뉴질랜드 정신의학 저널'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005년부터 2017년을 자살예방법과 자살 보도 권고기준 시행을 전후로 2005∼2011년, 2012∼2017년으로 나눠 국내 자살률 추이를 분석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자살예방법과 자살 보도 권고기준 시행 이전인 2005년부터 2011년 사이 유명인의 자살 관련 보도가 나간 후에 한 달 동안 일반인 자살률은 평균 18% 늘었다.

 유명인의 사망 직전 한 달 평균값과 비교한 결과로, 5년 치 월간 평균 자살률과 코스피, 실업률, 소비자물가지수 등을 모두 반영해도 자살 보도가 미친 영향이 뚜렷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유명인의 자살 보도를 접하면서 힘든 상황에 있는 일반인들이 이에 동조하거나 모방하는 '베르테르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2012년부터 변화가 감지됐다. 2012년 자살예방법과 2013년 자살 보도 권고기준이 차례로 시행되면서 유명인 자살 보도 후에 한 달간 자살률 증가 폭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13년부터 2017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자살을 묘사하는 언론 보도를 자제하고 신중히 전하면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는 '파파게노 효과'가 과학적으로 규명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전 교수는 "법적·제도적 정비와 더불어 자살을 대하는 언론의 보도 방향이 바뀐 덕분"이라며 "언론의 노력으로 지난 10년간 더 많은 생명을 지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2018년 이후에 다시 영향력이 늘어나고 있다"며 "유튜브,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더 쉽게, 더 다양한 경로로 유명인의 자살 관련 소식이 전해지는 만큼 이에 대해서도 자정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