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온열질환 구급출동 553건...지난해 같은기간 6배 증가

 올여름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지난달 소방청의 온열질환 관련 구급출동 건수가 작년 같은 달의 6배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열 질환은 고온 환경에 노출돼 열 때문에 생기는 응급질환을 말한다.

 8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달 온열질환 관련 구급출동 건수는 55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3건)의 5.9배에 달했다.

 지난달 출동 현황을 시간대별로 보면 낮 12시에서 오후 6시까지가 371건으로 67.1%를 차지했다.

 장소별로는 집(아파트 단지, 놀이터 등 주거지 인근 포함)이 115건으로 20.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바다·강·산·논밭에서 109건(19.7%), 도로 외 교통 지역 80건(14.5%) 등 순이었다.

 또 지난해 월별 온열질환 출동 현황을 보면 8월이 60.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올해 온열질환 관련 구급출동 현황

 소방청은 또 최근 온열질환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망사고가 잇따르는 만큼 야외활동에 주의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폭염 때는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기상 상황을 수시로 확인해 주의보나 경보가 발령되면 야외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기온이 높은 낮 시간대 야외작업을 피하고, 혼자 작업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폭염으로 인해 두통이나 현기증이 나타나면 시원한 곳으로 이동해 휴식을 취하고, 증상이 심해지면 119로 신고해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소방청은 또 온열질환자 발생에 대비해 전국 모든 구급차에 생리식염수 등 폭염 대응 구급장비를 갖추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별진료소, 쪽방촌, 수도시설이 고장 난 아파트단지, 가축 폐사 위험이 있는 축사 등에 비상급수 지원활동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5일부터 이달 5일까지 전국 소방관서에서 긴급지원한 물의 양은 2천500여t에 달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