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 안전치 않다' 65.3%로 최고…'코로나19 통제 가능' 38.8%로 최저

"국민 10명 중 9명, 여전히 코로나 확진자 통제 중요하다 생각"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서 코로나19의 치명률이 낮아졌지만, 국민 10명 중 9명은 여전히 확진자 통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코로나19 보건대학원 기획연구단은 설문조사기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올해 7월 29일부터 8월 2일까지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와 사회적 건강 3차 조사'(표집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응답자 절반은 코로나19의 치명률이 낮아졌기 때문에 최근 4차 대유행과 앞선 1∼3차 대유행의 확진자 수가 같은 의미가 아니라고 봤다.

 다만 확진자 규모가 커지면 바이러스 진화와 중증 환자 증가 등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여전히 확진자 통제가 중요하다는 진술에 대해서는 절대다수인 90.6%가 동의했다.

 현행 방역체계의 전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의 일관성이 떨어졌다. '치명률이 낮아진 지금부터는 어느 정도 확진자가 발생해도 코로나19와 일상이 공존하도록 방역 체계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진술에는 56.9%가 찬성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백신 접종률이나 확진자 숫자 등을 볼 때 방역체계 전환을 고려하는 것은 시기상조다'라는 진술에도 76.1%가 찬성했으며, '제로(0명) 수준으로 확진자가 줄어들기 전에는 현재의 방역체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79.9%가 찬성했다.

 국민 다수가 코로나19 백신을 맞는 경우를 가정하고 일상 회귀 가능성에 관해서는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입장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입장이 각각 60.7%와 63.6%로 엇비슷했다.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하루 확진자가 121명, 인구의 75.7%가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한국 사회가 코로나19의 위험에서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을 보인 사람은 65.2%로, 동일 문항을 적용한 지난해 1월부터의 설문조사 이래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코로나19 위험을 사회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응답은 38.8%에 그쳐 동일 문항을 적용한 지난해 6월 조사 62.6%, 지난해 8월 본 조사 1차 44.1%, 올해 2월 본 조사 2차 49.6% 대비 낮은 수준이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