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국가필수예방접종' 대상에 포함 추진

 질병관리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정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0일 정부가 원내 4개 정당에 전달한 '정부 주요 정책 추진 현황 및 향후 과제' 자료집에 따르면, 질병청은 단계적 일상회복과 '관리되는 감염병'으로서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인플루엔자(독감)와 같이 코로나19를 국가 필수 예방접종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인플루엔자의 경우 올해 만 65세 이상 어르신, 생후 6개월 이상부터 만 13세 이하 어린이, 임신부는 국가 필수 예방접종 지원사업 대상자로서 무료로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

 질병청은 국가 필수 예방접종 사업 과제로 인플루엔자 접종 대상자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장기적으로는 국가 예방접종 도입 우선순위를 정하고, 예방접종 전문위원회 검토를 거쳐 국가 필수 예방접종 백신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질병청은 또 임시조직인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을 대체하는 전문 공공기관을 신설하고, 감염병예방법을 개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신설 공공기관은 다른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면서 백신의 안전성과 유통, 이상반응 조사, 피해보상 등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할 전망이다.

 질병청은 신종 감염병 위기 대응 전략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의료 대응 체계를 재설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역학조사 전문 교육체계를 마련하고 보건소 등의 감염병 대응 상시 조직을 설치하는 등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