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부스터샷→'추가접종' 사용 당부

김총리 "우리말로 써주세요"

 정부가 코로나19 상황에서 널리 쓰이는 '위드 코로나'(with corona), '부스터샷'(booster shot)이라는 용어를 우리말인 '단계적 일상회복', '추가접종'으로 바꿔서 사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7일 브리핑에서 김부겸 국무총리가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단계적 일상회복'과 '추가접종' 등 우리말 용어 사용을 당부했다고 전했다.

 중대본은 지난 1일부터 시행한 단계적 일상회복의 의미에 대해 "기존의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관리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의료대응 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에서 기존 방역 조치를 점진적으로 완화하면서 안전하게 일상을 회복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단계적 일상회복의 다른 말로 사용되고 있는 '위드 코로나'는 방역을 급격하게 완화하는 의미가 담겼고, 외래어지만 외국에서도 의미가 불분명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중대본은 지적했다.

 코로나19 백신 기본 접종을 완료한 뒤 일정 기간 뒤에 또 접종하는 추가접종은 흔히 부스터샷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역시 외래어라는 문제가 있다고 중대본은 덧붙였다.

 중대본은 "위드 코로나는 가급적 단계적 일상회복 또는 일상회복으로, 부스터샷은 추가접종이라는 우리말로 용어를 사용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중대본의 이런 설명은 최근 영국 일간지 더타임스가 한국에서 쓰이는 '콩글리시'를 소개하면서 '위드 코로나' 역시 한 예로 제시하는 등 외신에서도 이런 문제점을 지적한 것을 의식한 것으로도 보인다.

 국내에서 '위드 코로나'는 사실상 코로나 바이러스와 '공존'한다는 의미로 통용됐으나 더타임스는 지난달 20일자 기사에서 'living with coronavirus'(코로나와 공존)를 '위드 코로나'로 줄여 쓴 것 역시 '콩글리시'의 한 예라고 소개했다.

 '부스터샷'의 경우 접종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한 차례 더 맞는 것을 뜻하는 말로, 원래부터 의료계에서 쓰이는 용어다.

 한편 이날 신규 확진자수는 3천187명으로, 3천명을 넘어서며 역대 두번째 규모를 기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