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보건소 이용 42% 감소…취약계층 위한 대책 필요"

심평원·건보공단 연구팀 "확산세 줄어도 회복 안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지역사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건소의 이용률이 42% 떨어졌고, 확산세가 잦아든 이후에도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진은 지난해 2월 말부터 4월 중순까지 코로나19 제1차 대유행 기간과 전후의 보건소 이용 건수를 분석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고 21일 밝혔다.

 연구진은 2020년 1월 20일부터 2월 23일까지를 '확산 전 기간'(pre-wave), 2월 23일부터 4월 19일까지를 '확산기'(spreading), 4월 19일부터 8월 16일까지를 '회복기'(recovery)로 구분했다. 이 기간 보건소 이용 총 건수는 1천589만8천342건으로, 주당 평균은 18만7천39건이었다.

 '확산 전 기간'에는 주당 보건소 이용 건수가 21만4천281건이었다가 '확산기'에는 12만3천681건으로 약 42.2% 감소했다.

 '회복기'는 코로나19의 확산이 더뎌진 기간이었는데도 주당 보건소 이용 건수는 12만709건으로 오히려 더 줄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확산기 이전에도 주당 평균 보건소 방문 횟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확산기를 거치면서 감소세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해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기 등 인구밀도가 높아 코로나19 확산세와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가 높았던 지역에서는 보건소 방문 감소 경향이 더욱 뚜렷했다.

 연구진은 감염병 확산으로 보건소 의료인력이 방역조사와 코로나19 검사 업무에 배치되면서 '주민 건강 증진'과 '외래 환자 진료' 등 기존 업무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의 건강 척도도 악화했다.

 환자의 주요 진단 질환을 제외한 나머지 질환의 수를 나타내는 '동반질환지수'(CCI) 평균치는 확산 전 기간 1.88에서 확산기 2.01로 뛰었다. 회복기에는 1.89로 다시 떨어졌다.

 연구진은 사설 병·의원보다 보건소 이용 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을 들어 "보건소 주 이용자인 저소득층, 노인, 농어촌 지역 인구 등 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보건협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대한보건연구' 최근호에 게재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