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무전기에 긴급지원 요청 기능…한국형 전자충격기도 도입

 경찰이 불시 피습 등 음성 교신이 곤란한 상황에서 긴급하게 경력 지원을 요청할 수 있도록 무전기에 관련 기능을 탑재한다.

 경찰청은 최근 '현장 대응력 강화'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원터치'로 도움이 필요한 경찰관의 위치와 지원 요청 메시지를 상황실로 자동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연말까지 개발해 다음 달 전국에서 시행하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경찰은 또 기존 테이저건보다 가볍고 3연발이 가능한 리볼버 형식의 한국형 전자충격기를 내년 1월부터 6월까지 서울, 경기 남부, 인천, 경기 북부 4개 시도경찰청 지역 경찰 100명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이달 입교하는 신임 경찰 310기부터 교내교육 기간을 기존 4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하고, 현재 교육을 받는 309기부터 현장실습 2개월 시작 전 1주간 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한 물리력 훈련 중심의 특별교육을 한다고 밝혔다.

 TF에서는 이외에도 인재선발 제도 개선과 스마트워치 운영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경찰은 최근 인천 흉기난동 부실대응과 서울 신변보호 대상자 피살을 계기로 현장 대응력 강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