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6일 조간)

▲ 경향신문 = 정부, 사상 최대 수익 정유사에 횡재세 부과 고민하길

윤 대통령 취임 100일 회견, 대대적 국정·인적 쇄신 담아야

윤 대통령의 북핵 '담대한 구상', 안전보장 방안이 없다

▲ 국민일보 = 재난 현장서 발휘된 공동체 의식…기후변화 극복의 동력

'한·일 관계 복원' '담대한 대북 구상' 천명한 8·15 경축사

정치적 중립성과 수사 독립성 지킬 검찰총장 제청해야

▲ 서울신문 = 투자위축·고용둔화, 경기하강 신호에도 대비해야

尹 '담대한 구상' 보완하고, 北도 호응하기를

"일본은 세계 위협에 힘 합칠 이웃" 8·15 경축사

▲ 세계일보 = 尹정부 첫 예산 13년 만에 축소, 방향 맞지만 긴축강도 높여야

민심은 전면쇄신 요구하는데 홍보라인만 보강한다니

尹 "비핵화시 식량 등 담대한 지원", 이젠 北이 화답할 차례다

▲ 아시아투데이 = 노동단체가 왜 한·미 훈련 중단을 외치나

자유·인권' 강조한 '특별한' 광복절 경축사

▲ 조선일보 = 서울시 '20년 내 반지하 없앤다' 집착부터 버려야

장관급만 4곳 공석, 우려되는 인사 공백 장기화

구체화된 윤 정부 대북 구상, 대화하더라도 제재 해제는 신중해야

▲ 중앙일보 = 윤 정부 첫 예산 편성, 재정건전성 회복에 초점 둬야

담대한 8·15 대북 제안…북한 호응이 관건

▲ 한겨레 = "성평등은 자기 돈과 시간으로"라는 권성동 망언

이준석 '폭탄 회견', 윤 대통령 반성과 해명 필요하다

현실성도 원칙도 안 보인 윤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 한국일보 = 中, 서해서도 군사훈련…대만 긴장 상시화 국면

재건축 규제 완화, 집값 안정 흔들지 않도록

북한 비핵화 시 획기적 지원 제안한 尹 대통령

▲ e대한경제 = '복권' 이재용 삼성 부회장, 경제활력 '구원투수' 기대한다

이준석 연이은 尹 대통령 공격, 여당이 이래선 안 돼

▲ 디지털타임스 = 다중채무자 비중 '최고', 금융권 고금리대출 조정 서두르라

尹 "김대중-오부치 선언 계승"…日, 성의있는 호응 있어야

▲ 매일경제 = "한미동맹 해체, 양키 고홈" 북한 주장 대신 외치는 민주노총

광복군과 탈북 국군포로에 대한 예우, 비정상의 정상화다

尹정부 100일' 국정쇄신 더 과감하게 하라

▲ 브릿지경제 = 北 비핵화·日 관계개선보다 급한 내치(內治)

▲ 서울경제 = 법치 이어 체제까지 흔드는 민노총, 정치 단체인가

재정 건전성' 생각한다면 포퓰리즘 공약부터 폐기하라

자유·도약' 실현하려면 與 '내 탓' 반성하고 다시 시작해야

▲ 이데일리 = 의문투성이 대규모 해외송금, 철저 조사로 전모 밝혀야

분열과 갈등 속 자유·통합 외친 광복절 77주년 메시지

▲ 전자신문 = 공공기관 혁신, 획일적 잣대 안 된다

尹 광복절 메시지에 北·日 답해야

▲ 파이낸셜뉴스 = 尹대통령 담대한 계획, 北 비핵화로 호응하길

튼튼한 재정, 과감한 공공개혁이 관건

▲ 한국경제 = 수상한 외화 송금이 무려 8.5兆, 가상자산 활용 돈세탁 막아야

中 패권 행보·北 핵 도발…韓·日관계 개선 쭈뼛거릴 시간 없다

尹대통령 100일…'정부 실패=국가·국민의 실패' 되새겨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