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 맛, 제조공장에 따라 다르다?…"극히 미미하거나 없다"

 '인생이 쓰면 소주가 달다'는 애주가들의 지론은 실제 근거가 있는 과학적 발언일까?

 주류업계의 대목인 연말을 앞두고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하이트진로의 소주 '참이슬'이 제조 공장에 따라 맛이 다르다는 주장이 확산하고 있다.

 참이슬에 붙은 제품 라벨을 보면 'F1'(Factory 1), 'F2' 등으로 제조 공장이 표기돼 있다. 소주는 물이 주재료인데 이 제조 공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하수가 다르기 때문에 공장에 따라 소주 맛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SNS), 유튜브 등에서는 "경기도 이천시의 쌀은 예로부터 임금에게 진상될 정도로 유명한 맛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지하수의 단맛 때문"이라며 "(이천에 있는) F1에서 제조한 참이슬은 달고, (청주의) F2에서 제조한 소주는 쓰다"는 주장이 폭넓게 퍼지고 있다.

 정말 같은 참이슬이라고 해도 제조 공장에 따라 맛 차이가 있는 걸까?

 결론부터 말하면, 제조 공장에 따른 맛의 차이는 극히 미미하거나 없다.

흔히 접하는 초록병에 든 소주는 모두 희석식 소주다. 희석식 소주는 연속증류(반복적 순환을 통해 고농도 알코올을 얻는 증류법) 공정을 통해 95%가 알코올인 주정(酒精·술의 원료로 쓰이는 에탄올)을 만들어 이를 물에 희석하는 방식으로 생산한다. 소주는 80%가 물이고, 나머지 20% 안팎이 주정이다. 여기에 미량의 감미료가 첨가된다.

 희석식 소주는 일본에서 처음 개발됐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에 들어서 대중화됐다.

 여기엔 술 만드는 데 쌀을 쓰지 못하도록 한 정부 규제가 한몫했다.

 그 이전까지는 증류식 소주(단식증류 후 발효와 숙성을 거치는 소주)와 탁주(막걸리)가 인기를 끌었는데 1965년 양곡령으로 식량 외 용도의 쌀 소비가 규제되면서 쌀로 술을 빚는 증류식 소주의 생산이 금지된 것이다. 그러자 고구마나 감자를 원료로 하는 주정에 물을 섞어 만드는 희석식 소주가 저렴한 가격에 힘입어 대중주로 급부상하게 된다.

 주정은 타피오카, 고구마, 쌀 등에 함유된 전분을 발효시켜 얻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주정을 만드는 회사는 총 9곳인데 이들이 생산한 주정은 모두 '대한주정판매'로 팔려나간다. 대한주정판매는 국내에서 주정을 독점 유통하는 도매업체다.

 10여개의 국내 소주 제조사는 대한주정판매로부터 주정을 받은 뒤 물, 감미료와 혼합해 소주를 제조·판매한다. 주정 유통이 독점 구조인 것은 주정이 국가의 주요한 세금원이어서 국세청이 철저히 통제·관리하기 위해서다.

 전국에 산재한 소주 제조사는 저마다 상이한 감미료를 넣기 때문에 다른 브랜드의 소주 간에는 미세한 맛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소주 제조사가 지금처럼 전국 곳곳에 흩어져 분포하게 된 건 1970년대 시장 독점 방지를 위해 도입한 '자도주' 제도의 흔적이다. 자도주는 시·도별로 1개 업체만 소주를 생산하고, 해당 시·도에서 시장 점유율이 50%를 넘도록 한 제도다.

 자도주법은 1996년 시장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위헌 결정이 나 완전히 폐지됐지만 지금도 이 제도의 그림자는 남아 있다.

  수도권의 경우 진로하이트의 '참이슬', 강원도는 롯데주류의 '처음처럼', 대전·충남은 맥키스컴퍼니의 'O2린', 부산은 대선주조의 '대선' 등의 소주 브랜드가 일종의 '지역 소주'로 인식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