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 5년간 연평균 20% 성장…작년 20조원 돌파

수출 첫 11조원대 진입…"코로나 선제 대응 계기로 도약"

  지난해 국내 바이오산업의 생산 규모가 사상 처음 20조원을 돌파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가 바이오산업의 생산·수출입·고용·투자현황 등을 조사해 발표한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은 20조9천983억원으로 전년 대비 22.1% 증가했다.

 바이오산업 생산은 2017년(10조1천457억원)에 10조원을 처음 돌파했고 2018년 10조6천67억원, 2019년 12조6천586억원, 2020년 17조4천923억원에 이어 작년에 20조원 문턱마저 넘었다.

 지난 5년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은 연평균 19.9%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생산 규모를 부문별로 보면 바이오의약 비중이 27.8%로 가장 컸지만, 코로나 확산의 영향으로 체외진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바이오의료기기 비중이 25.1%까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서비스(바이오 위탁생산, 바이오분석 등)와 바이오화학·에너지(바이오연료, 농약, 화장품 등)의 비중이 12.3%, 13.1%로 증가했다.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

 특히 체외진단기기 수출 증대로 바이오의료기기 수출액이 전년 대비 39.0% 늘면서 비중이 1년 새 30.2%에서 35.6%로 대폭 증가했다.

 수입은 4조7천692억원으로 전년 대비 96.2% 급증했다. 특히 코로나 백신의 수입 영향으로 바이오의약의 수입이 120.3% 폭증했다. 바이오화학·에너지와 바이오의료기기 수입도 43.2%, 23.2% 증가했다.

 바이오산업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해 바이오 분야의 고용 인력은 전년 대비 6.4% 증가한 5만5천618명으로 나타났다.

 총투자비는 3조679원으로 10.0% 증가했다. 작년에는 시설투자비 증가율(12.6%)이 연구개발비 증가율(9.1%)보다 높았다.

 박동일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국장은 "지난해 바이오산업은 코로나 선제 대응을 계기로 크게 도약했다"며 "성장 모멘텀을 이어나가기 위해 기존 산업뿐 아니라 디지털 치료제, 첨단바이오, 합성생물학과 같은 미래 먹거리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바이오산업 수출입 변화 추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복지부, 新의료기기 '시장 즉시 진입' 기준·절차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새로운 의료기기가 곧바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시장 즉시 진입 의료기술' 제도 도입을 앞두고 정부가 그 기준과 신청 절차 등을 마련했다. 보건복지부는 별도의 신의료기술평가 없이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의료기기 대상과 신청 절차 등이 담긴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최근 입법 예고했다. 신의료기술평가는 새로운 의료기술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절차다. 안전성·유효성을 검증받은 뒤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신설, 올 하반기에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입법예고된 개정안에서는 해당 제도의 대상과 신청 절차를 규정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국제적 수준의 임상 평가를 거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기술은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식약처의 의료기기 허가 단계에서 복지부와의 협의를 거쳐 새로운 의료기기 품목으로도 공고된다. 신의료기술평가 유예를 원하는 기업 등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이미 등재된 의료기술인지를 확인해달라고 신청하고,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즉시 시장에 사용 가능케 한다는 내용도 개정안에 담겼다. 해당 의료기기가 비급여로 시장에 진입한 후에도 환자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