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에 남녀 없다…누구나 적극 나서야"

급성심정지 2만9천건 분석결과, 여성목격자 CPR 시행률 40% 낮아

 병원이 아닌 곳에서 심정지 환자가 생겼을 때 가장 중요한 건 주변 목격자의 빠른 심폐소생술(CPR)이다.

 심장과 호흡이 멈춘 뒤 4∼5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이 돌게 함으로써 환자의 생존율을 2배 이상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장에 목격자가 있어도 국내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질병관리청 통계를 보면 2021년 일반인이 목격한 병원 밖 급성심정지 2만9천76건 중 주변인에 의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는 28.8%(8천381건)에 그쳤다.

 이처럼 낮은 심폐소생술 시행률에는 환자의 나이나 성별 등이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중에서도 환자가 여성인 경우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크게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논문에서는 여성의 신체에 접촉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등이 여성 환자에 대한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떨어뜨리는 이유라고 분석했다.

 그런데, 심정지 환자의 목격자가 여성인 경우에도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제학술지 '소생'(Resuscitation) 최신호에 따르면 동국대일산병원 응급의학과 이경민 교수 연구팀은 소방청과 질병관리청이 구축한 2만4천919명의 병원 밖 심정지 환자·목격자 데이터(2016∼2020년)를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여성 목격자가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비율은 남성에 견줘 40%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여성 목격자만 따로 봐도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남성보다 15% 낮았다

 특히 심정지 환자가 남성일 경우에는 이런 경향이 더욱 뚜렷했다.

 연구팀은 여성이 응급상황에 적극적으로 나서거나 육체적으로 힘든 역할을 하기 어려운 사회적 분위기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데도 걸림돌이 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남성보다 체력이 떨어지고, 덩치가 왜소한 점 등도 심폐소생술을 주저하게 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따라서 목격자 성별에 따른 심폐소생술 제공률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별 맞춤형 심폐소생술 교육이 필요하다는 게 연구팀의 판단이다.

 이경민 교수는 "여성의 경우 심정지 환자의 덩치가 너무 커 자세를 바꾸거나 옮기는 데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황이라면 선뜻 심폐소생술에 나서기가 쉽지 않다"면서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여성이 시행하는 최소한의 심폐소생술이 생명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자신감을 심어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올바른 심폐소생술은 환자를 바로 눕힌 후 어깨를 가볍게 치면서 의식 및 반응을 확인하는 게 먼저다. 환자의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 호흡(심정지 호흡)을 보인다면 119에 신고하고 즉시 가슴압박을 해야 한다.

 이때 압박 깊이는 약 5㎝이며, 압박 속도는 분당 100~120회 정도다. 심폐소생술은 구급대가 도착하거나 환자의 호흡이 정상화될 때까지 시행하는 게 원칙이다.

 만약 처치에 자신이 없다면 119의 지시에 따라 행동하면 도움이 된다. 인공호흡의 경우 하는 방법을 모르거나 인공호흡이 꺼려진다면 가슴 압박만 해도 된다.

 이 교수는 "고령화 사회의 특성상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러운 심정지 환자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어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면서 "더욱이 여전히 여성이 간병을 도맡아 하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심폐소생술 교육을 통해 남성과 여성 간 심폐소생술 시행률의 차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