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뇨장애 환자 5년 사이 30% 증가…60대 이상이 60% 차지

"규칙적인 생활·충분한 휴식·적정체중 유지 등 중요"

 소변을 볼 때 어려움을 겪는 배뇨장애 환자가 5년 사이 30% 가까이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배뇨장애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17년 57만4천889명에서 2021년 74만6천59명으로 17만1천170명(29.8%)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6.7%다.

 환자가 늘면서 배뇨장애 건강보험 진료비도 같은 기간 1천563억원에서 2천478억원으로 58.6% 상승했다. 1인당 진료비는 2021년 33만2천원이다.

 배뇨장애는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방광과 요도의 기능적 이상으로 환자가 배뇨에 어려움을 겪는 질환이다.

 과민성 방광, 방광 출구 폐쇄 등 저장·배출 기능의 이상뿐 아니라 노화, 성호르몬 변화, 뇌·척수 신경질환, 약물복용 등 여러 원인으로 발생하며, 빈뇨, 야간뇨, 요실금, 분산뇨, 간헐뇨, 잔뇨감 등의 증상이 있다.

 연령별로는 60대가 22.6%로 가장 많고, 70대 21.8%, 80세 이상이 15.6%였다. 합쳐서 60대 이상이 60%를 차지한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60대가 2천411명, 70대 4천665명, 80세 이상은 6천102명에 달한다. 80세 이상의 경우 한 해 100명당 6명 이상이 배뇨장애로 진료를 받는 셈이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의학과 박재원 교수는 60세 이상 환자가 많은 데 대해 "노화에 따른 배뇨근 수축력이나 방광 용적의 감소, 당뇨와 같은 기저질환, 배뇨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일부 약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일상생활에서 배뇨장애 예방을 위해선 규칙적인 생활과 충분한 휴식을 하고, 너무 오래 앉아있는 것이나 기름지고 맵고 짠 음식, 술, 담배, 커피 등은 삼가야 한다고 박 교수는 조언한다.

 또 비만으로 방광이 눌려 배뇨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변을 오래 참는 것도 피해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나도 우울증일까'…마음건강 자가검진, 카톡으로 손쉽게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누구나 휴대전화로 손쉽게 우울증 자가검진을 할 수 있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국립정신건강센터와 카카오헬스케어 간 협업으로 마련한 '마음건강 챗봇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과 올해 3월 국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마음건강 서비스 제안에 따른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마음건강 자가검진을 받으려면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한 뒤 안내에 따라 '우울증 자가검진' 메뉴로 들어가면 된다. 자신의 성별, 연령대, 사는 지역을 입력한 후 자가검진을 실시할 수 있고, 결과에 따라 가까운 정신건강상담센터, 자살예방센터 등 관련기관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 희망하는 경우 국가정신건강정보포털 홈페이지로 이동해 더 구체적인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별도 이용료 없이 제공된다.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우울증 자가검진은 현재 국가건강검진에서 활용하는 것과 동일한 우울증 검진도구(PHQ-9)이다. 정부는 향후 불안증과 같은 다른 정신건강질환과 관련한 검진 도구도 순차적으로 추가할 예정이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고혈압 관리를 위해 혈압을 체크하고 당뇨 관리를 위해 혈당을 수시로 점검하듯, 마음건강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