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수도권 쏠림 현상…피부과는 61%가 서울"

지역별·연령대별 이용 편차…신현영 의원 "제도화에 특성 반영해야"

 코로나19 위기 경보 '심각' 단계 기간에 한시 허용된 비대면 진료가 주로 수도권에서 많이 이용됐던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진료과목, 연령대 등에 따라 이용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만큼 제도화 이전에 정교한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2월∼2022년 9월 비대면 진료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피부과 비대면 진료 총 건수는 2만3천673건, 비뇨의학과 건수는 15만171건이었다.

 피부과 비대면 진료 중 61%인 1만4천453건이 서울에 있는 의료기관에서 이뤄졌다. 비뇨의학과 비대면 진료는 24%인 3만6천675건이 서울, 29%인 4만3천652건이 경기에서 시행됐다.

 피부과 진료 중 초진이 26%(5천456건), 재진이 74%(1만5천633건)이었고 비뇨의학과는 초진이 9%(1만365건), 재진이 91%(9만8천771건)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피부과 진료는 20∼40대가 1만882건으로 전체의 46%를 차지했다. 비뇨의학과는 50∼70대가 7만8천77건으로 전체의 52%를 차지한다.

"비대면 진료 수도권 쏠림 현상…피부과는 61%가 서울" - 2

 내과 비대면 진료 중 78%가 코로나19 재택치료 사례였고, 22%가 한시적 비대면 진료였다.

 외과 진료 중에서는 85%가 코로나19 재택치료이고 나머지 15%가 한시적 비대면 진료다.

 내과 비대면 진료 건수 중 21%는 서울에서, 24%는 경기에서 이뤄졌다.

 외과 진료 역시 각각 서울과 경기에서 20%씩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 보면 내과 진료는 60대 31%, 70대 16%, 50대 14% 순이었고 외과 역시 60대 35%, 70대 19%, 50대 11% 순이었다.

 내과 진료 중 초진은 44만2천828건으로 9%, 외과는 초진이 3만4천232건으로 12%였다.

 이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비대면 진료의 상당수가 수도권에 쏠려 있으며, 진료과목에 따라 연령대별 이용 양상이 다른 것으로 분석된다.

 신현영 의원은 "비대면 진료 이용 양상과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제도 설계에 주요한 근거가 된다"며 "영역 특성에 맞는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비대면 진료 수도권 쏠림 현상…피부과는 61%가 서울" - 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