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거우즈도 절게 한 '족저근막염'…생활 속 원인 찾아야"

운동·비만·밑창 얇은 신발 등이 주요 원인…90% 이상 보존치료로 회복

 지난 3월 미국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열린 마스터스 토너먼트 대회에는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를 보려는 관중이 구름처럼 몰렸다.

 우즈는 당시 2라운드 공동 49위로 어렵게 컷을 통과했지만, 3라운드부터는 다리를 심하게 절룩거리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우즈는 7개 홀을 마친 후 기권을 선언했다.

 언론에서는 지금까지 25차례 마스터스에 출전한 우즈가 이 대회 도중 기권한 것은 처음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선수 본인은 물론이고, 우즈의 완주를 바랐던 마스터스 대회 주최 측이나 팬들 모두 아쉬울 수밖에 없는 대목이었다.

 이후 우즈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그동안 앓아온 족저 근막염이 재발해 기권하게 됐다고 밝혔다.

 우즈가 앓은 족저근막염은 발꿈치뼈에서 시작해 발바닥 앞쪽으로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띠인 '족저근막'에 생기는 염증 질환이다.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겨 걷는 것조차 어려워지는 것이다.

 이 질환은 비단 타이거 우즈와 같은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매우 흔하게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를 보면 2020년 25만명이던 족저근막염 환자는 2021년 26만5천명으로 늘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고, 연령대로는 퇴행성 증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50대(26.1%) 비중이 가장 높은 게 특징이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족부족관절센터 배서영 교수는 "인류가 진화해 두 발로 걷기 시작하면서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찬란한 문명을 이루었지만, 그 덕분에 족저근막이라는 구조물은 더 많은 시간 동안 혹사당하기 시작했다"면서 "스포츠 활동이 증가하고 수명이 연장된 지금은 족저근막이 감당해야 할 고통이 더욱 늘어났다"고 진단했다.

 족저근막염은 배 교수의 설명처럼 갑자기 운동량이 많아졌거나 걷기를 오래 한 경우 발생하기 쉽다. 이외에도 과체중, 족저부 외상, 평발, 밑창이 얇은 신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질환은 대부분 점진적으로 서서히 발생하는 게 특징이다. 대개 발꿈치 안쪽에서 통증이 시작되고 바닥에서 족저근막을 따라 통증이 옮겨간다.

 통증은 아침에 자고 일어나거나 오래 앉아 있다가 처음 몇 걸음 디딜 때 더 심하게 느껴지며, 몇 발짝을 떼고 나거나 수분이 지나면 증상이 줄어든다. 잠을 자거나 앉아 있을 때 수축한 족저근막이 발을 디딜 때 갑자기 늘어나면서 증세가 유발되는 탓이다.

 하지만 증상이 오래되면 좀 더 넓은 부위에서 통증이 나타나고, 오래 걸은 후에도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족저근막염은 90% 이상에서 휴식, 약물 사용, 보조기 착용, 주사, 체외충격파 등의 보존적 치료만으로 회복된다. 다만, 회복 기간이 6개월 이상 길어질 수 있어 인내심이 필요하다.

 이때 주기적인 스트레칭 운동은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 무릎을 편 상태에서 발목을 발등 쪽으로 서서히 구부려주거나, 벽을 마주 보고 서서 발바닥을 바닥에 붙인 후 벽 쪽으로 미는 스트레칭이 좋다. 이 과정에서 족욕이나 마사지 등의 물리치료를 병행하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만약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비수술적인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족저근막의 일부를 절제하거나 골극을 제거하는 수술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말초신경염이나 신경포착증후군, 발꿈치뼈의 피로골절, 점액낭염, 발바닥의 종양 등도 족저근막염과 비슷한 발꿈치 통증을 보일 수 있어 진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족저근막염은 평소 예방과 관리에 힘쓰는 게 중요하다. 만약 특정 운동이나 신체 활동을 할 때마다 발꿈치 통증이 나타나거나 심해진다고 느껴진다면 체중감소, 생활 습관 교정 등을 시도해보고 운동 방법도 몸에 맞는 것으로 바꾸는 게 바람직하다.

 또 뒤꿈치 패드가 부드럽고 두꺼운 신발을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 프린팅으로 위암 모델 제작…"맞춤형 치료법 개발 가능"
국내 연구진이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위암과 암세포를 둘러싼 생체환경을 구현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김지수씨, 연세대 외과학교실 정재호 교수와 의생명과학부 김정민 박사 공동 연구팀이 위암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드(Patient derived organoids, PDOs)를 활용해 혈관화된 위암 모델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드는 환자로부터 유래된 조직 덩어리로 주로 조직이나 종양 세포를 사용해 만든 3차원 유기체를 가리킨다. 현재 기술로는 체외에서 위암의 병리학적 특징과 종양을 둘러싼 복잡한 환경을 모사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와 3D(입체)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실제 위암 혈관 구조와 환경을 재현한 혈관화된 위암 모델을 제작했다. 이 모델은 90% 이상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실제 위암과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3D 바이오프린팅은 세포가 들어있는 바이오잉크를 사용해 인공장기나 조직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이 환자별 혈관화된 위암 모델을 제작해 약물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제 임상